민족문제硏 임헌영 소장 “일제 강점기 민중 생활상에 초점 역사관 건립 2011년 상반기 착수”

입력 2011-02-21 20:42


“과거 청산은 올바른 역사 인식을 통해 동아시아 전체의 올바른 관계를 설정하고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첫 번째 단계입니다. 친일인명사전 발간에 이은 역사관 건립이 그 단초가 될 수 있지요.”

민족문제연구소 임헌영(70·사진) 소장이 오는 27일 연구소 창립 20주년을 앞두고 일제강점기 민중생활을 엿볼 수 있는 역사관 건립 추진 계획을 밝혔다.

임 소장은 21일 “올해 상반기 안에 역사관 추진위원회를 설립하고 본격적인 건립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라며 “2009년 연구소의 1차 과업이었던 친일인명사전 발간을 마치고 성년이 된 연구소의 새로운 과업인 일제하 생활관 건립에 매진할 것”이라고 포부를 다졌다.

역사관 건립은 2007년 건립 준비위원회를 발족하고 기본 계획안을 만들었지만 2009년까지 사전 편찬에 집중하느라 진전을 보지 못했다.

임 소장은 “전국 300여개 박물관 중 일제강점기를 집중적으로 다룬 곳은 독립기념관과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등 두 곳뿐”이라며 “이들 전시관은 독립운동 위주의 저항의 역사가 중심이어서 생활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연구소가 건립할 역사관은 일제 치하에서 식민통치를 미화하고 선전하는 사료와 포스터, 화보, 팸플릿, 기록 영화 등과 징병·징용 관련 서류와 증명서, 군복이나 가방, 목총, 유골과 함께 매장한 부장물 등 구체적인 자료로 채워진다.

임 소장은 “연구소가 창립한 이래 지금까지 확보한 관련 사료는 약 6만점”이라며 “피해자의 기록화와 소장품, 당시 학교 성적표나 일기, 애국부인회 공로장 등 일제 치하 민중의 생활사를 한눈에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제 식민 잔재 청산에 대한 인식을 국민에게 심어준 것이 연구소의 20년 성과”라며 “역사관은 사전과 마찬가지로 일제 청산이 얼마나 중요하고 우리 삶과 맞닿아 있는가를 널리 알리는 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수현 기자 siempr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