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올림픽, 이번엔 평창이다] 분단 이미지 그만… ‘진전된 평창’ 보여준다
입력 2011-02-21 17:39
IOC 표심 잡을 새로운 전략은
평창은 동계올림픽 유치에 나선 두 번의 도전에서 모두 ‘전강후약’으로 뒷심부족을 드러내며 안타깝게 무릎을 꿇었다. 2010년 동계올림픽 유치전에서는 1차 투표에서 밴쿠버(40표)와 잘츠부르크(16표)를 압도하는 51표를 깜짝 득표하고도 2차 투표에서 3표차로 밴쿠버에 밀렸다.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 시에도 1차에서 36표를 얻어 소치(34표)를 앞섰으나 재대결에서 소치에 4표 뒤지며 두 번의 눈물을 흘렸다.
평창은 두 번의 실패를 거울삼아 111명의 IOC 위원들에 대한 1대 1 맨투맨식 표심 잡기에 주력한다는 전략이다. 우선 평창은 두 번의 유치 과정에서 IOC에 약속한 경기장 시설 및 교통망을 확충함과 동시에 드림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4년 전 실사와 달리 실제 일부 완공된 경기장 시설을 직접 IOC 위원들에게 보여줌으로써 동계올림픽 유치에 따른 기대를 높임과 동시에 평창에 대한 신뢰 역시 높인다는 복안이다.
기본적인 시설에 대한 준비와 함께 IOC 위원들의 표심을 끝까지 붙잡아둘 맞춤식 전략도 함께 마련하고 있다. 201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결정 당시 평창이 언론이나 IOC 위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음에도 소치에 밀린 것은 결국 위원들의 표심 향방을 제대로 읽지 못한 때문이다. 현재 IOC 위원들은 78개국 111명으로 이뤄져 있다. 유럽이 26개국 46명으로 가장 많고 아시아가 21개국 24명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나머지는 아메리카(14개국 20명), 아프리카(14개국 16명), 오세아니아(3개국 5명)로 이뤄져 있다.
유치 콘셉트에서도 앞선 대회와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간 한국이 국제대회를 유치할 때마다 내세웠던 세계 유일 분단국가라는 명분을 배제하고 ‘진전된 평창’, ‘새로운 지평’이라는 모토를 내세웠다. 한반도 평화를 콘셉트로 내세울 경우 지난해 월드컵 유치 실패에서도 보듯 북한의 상황 변화에 따라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다.
유치위원회의 성격도 강원도 산하 법인이 아닌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법인으로 뒀고 유치를 위한 인물도 보강했다. 조양호 대한항공 회장을 유치위원장에 선임한 것을 비롯해 김진선 전 강원도지사도 특임대사로 임명했다. 이 밖에 동계올림픽 스타 부재의 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겨 여왕 김연아를 홍보대사로 위촉해 홍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김현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