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저축은행 예금인출 도미노 차단 주력

입력 2011-02-21 01:40


금융위원회는 21일부터 부산저축은행 그룹 계열사인 부산2·중앙부산·전주저축은행과 보해저축은행 등 4곳에 대해 21일부터 6개월 영업정지 조치에 들어간다고 19일 밝혔다. 이로써 영업정지된 곳은 지난달 14일 삼화와 지난 17일 부산·대전저축은행을 포함해 7곳으로 늘었다. 부산 지역은 업계 1위인 부산저축은행 그룹의 몰락에 따른 충격으로 민심이 흉흉해지고 있다. 이에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21일 부산을 방문해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열기로 하는 등 추가 영업정지 방지를 위한 금융당국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당국 고객 불안감 해소 총력전=애초 정부는 지난 17일 부산저축은행 계열(부산·부산2·중앙부산·대전·전주)에 모두 영업정지 조치를 내리려고 했다. 또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5% 미만인 저축은행 5곳의 공개를 고심했다. 뱅크런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 그러나 부산저축은행 측이 충분히 버틸 여력이 있다고 한 데다 형평성 여부가 도마 위에 올라 명단을 발표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명단을 감출 경우 불거질 정부 책임론도 우려되는 상황이었다”면서도 보해까지 영업정지로 이어진 데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는 표정이었다.

금융위는 그러나 4개 저축은행 추가 영업정지 조치를 취하면서 확실한 옥석가리기를 통해 시장의 불확실성을 제거하려는 뜻이라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보해 외에 BIS 비율이 5% 미만인 도민·우리·새누리·예쓰저축은행 등 4곳의 인출 움직임이 관건이다. 이 둑이 무너지면 다른 우량 저축은행도 안심할 수 없어 이번 주 초가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리·새누리저축은행의 경우 대주주 증자를 독려해 각각 200억원의 유동성 공급에 나서는 등 불안감 확산 차단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김 금융위원장은 부산 지역 불안심리가 심상치 않다고 판단, 21일 부산상공회의소에서 관계기관 합동대책회의를 열어 예금자 불편 해소, 저축은행 유동성 지원, 기업·서민의 금융애로 해소 등 안정대책을 강구키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예금 인출이 이어지는 우리저축은행에 국장급을 긴급 파견했다. 부산시는 부산은행 및 농협과 협의해 부산·부산2저축은행 고객들에게 1000만원 한도 내에서 긴급자금을 대출해주기로 했다.

◇문 닫은 저축은행 어떻게 되나=삼화저축은행 이후 영업정지된 저축은행 6곳은 자구노력 여하에 따라 다시 문을 열 수 있다. 6개월 내에 자구노력을 통해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에 실패하거나 금감원의 검사 결과 BIS 비율이 1% 미만으로 떨어져 정상화가 여의치 않을 경우엔 제3자 매각을 통한 경영정상화가 추진된다.

일단 예금자들은 원리금 5000만원까지 가입 당시 이율대로 돌려받을 수 있다. 다음 달 4일부터 한 달간 1500만원의 가지급금이 지급된다. 보해저축은행의 경우 5000만원 초과예금도 모회사인 보해양조와 전 계열사에서 보호한다.

융자가 필요하면 예금을 담보로 대출받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후순위채권은 전액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저축은행 매각이 되더라도 파산 배당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원금을 얼마나 건질지, 회수기간은 얼마나 될지 불투명하다.

휴일인 19일 저축은행 추가 영업정지 소식이 전해지자 “상반기까지 추가 영업정지는 없다”는 금융당국의 말을 믿은 예금자들은 배신감을 토로했다. 17~18일 부랴부랴 저축은행을 찾아 인출을 시도했던 예금자 중 일부는 많은 인파 때문에 번호표만 받고 발길을 돌렸다가 추가 영업정지 소식을 접해야 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