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평가 학교자율 논란… 교총 “우려” 전교조 “환영”

입력 2011-02-20 18:50

경기도 등 진보 교육감이 있는 5개 시·도에서 다음 달 치러지는 교과학습 진단평가 시행 여부 등을 학교 자율에 맡기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20일 각 시·도 교육청에 따르면 경기도, 강원도, 전남, 전북, 광주시 교육청은 올해 진단평가 시행 여부와 과목 수 등을 개별 학교가 결정토록 했다. 전남교육청은 모든 학교가 진단평가를 치르도록 하되 과목 수 등은 학교장에게 선택권을 줄 방침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초등학교 4∼5학년의 경우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중 국어와 수학만 의무적으로 치르게 했다. 다른 과목 시험 여부는 학교 자율에 맡긴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김동석 대변인은 “아이들의 학력수준을 확인해 ‘맞춤형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진단평가가 꼭 필요하다”며 “진보 교육감이 학교 측에 자율적으로 시험을 치르도록 할 경우 이들 지역에서 ‘시험을 안 봐야 하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가 생길 수 있어 걱정된다”고 말했다.

반면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동훈찬 대변인은 “학교가 자율적으로 진단평가 시행 여부 등을 결정토록 하면 학생을 획일적으로 줄 세웠던 부작용이 줄어들 것”이라며 환영했다. 전교조는 일제고사 형태의 진단평가가 도입된 2008년부터 매년 시험 거부 운동을 벌여 교육당국과 갈등을 빚었다.

한편 전교조는 일제고사 형태의 진단평가를 여전히 반대하고 있어 시험 선택권이 없는 나머지 10개 시·도에서 교육당국과 마찰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진단평가는 초등학교 3∼5학년과 중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학년 초 학생의 학력 수준을 파악해 수준에 맞는 학습지도를 하기 위한 시험이다. 평가 결과는 ‘도달’과 ‘미도달’ 등급으로만 나온다.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