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목소리] 폭설피해 대폭 줄이려면
입력 2011-02-18 19:15
2월 들어 많은 눈이 내렸다. 폭설로 교통대란이 벌어졌고 교통사고도 빈발했다. 지방일수록 ‘폭설관리’가 더더욱 절실하다. 선진국은 지방정부 안에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폭설 특별대책 기구’를 운영하는 등 신속하고 체계적인 제설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모든 건설 현장의 중장비에 대한 전국 네트워크 동원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예비군과 민방위 조직도 활용하는 동원정책이 마련돼야 한다. 일기예보를 지자체 단위에서 관리해 눈 올 확률에 따라 혼잡 예상 지역에 장비와 융설제(融雪劑)를 배치해야 한다. 염화칼슘을 적게 사용하는 선진국 사례를 벤치마킹하는 일도 중요하다. 동유럽의 경우 미세한 쇄석을 섞어 사용하다가 수거해 재사용하는 것처럼 도로에 따라 흙, 모래, 작은 돌, 바닷물 등을 어떻게 사용할지 연구해야 한다.
도로의 폭설 관리를 제대로 못할 경우 사고를 포함해 관광손실, 시간비용까지 엄청난 사회비용이 낭비된다. 정부는 매년 기상이변 탓만 하지 말고 선진국의 ‘폭설 관리 시스템’을 하루빨리 정착시키길 바란다.
홍창의(관동대 경영대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