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사건후 확 달라진 ‘통합방위회의’

입력 2011-02-18 18:53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44차 중앙통합방위회의는 이전 회의에 비해 형식과 내용이 상당히 달라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북한이 휴전 이후 처음으로 한국의 본토를 공격한 연평도 사건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그동안 중앙통합방위회의는 형식적으로 진행돼 왔던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나 연평도 사태를 계기로, 북한의 위협은 현실적인 문제가 됐기 때문에 토론 내용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도발 형태는 다양하다. 연평도처럼 우리 본토에 포사격을 가할 수도 있고, 국가 주요시설에 대한 테러를 감행할 수도 있으며, 비정규전 부대를 동원한 도발을 가할 수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이 다양한 방식의 도발을 가할 경우 일차적으로는 군이 막아야 한다”며 “그러나 군과 지방자치단체의 유기적 협조는 제대로 이뤄질 수 있는지, 군과 경찰은 어떻게 협조해야 하는지 등 구체적인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점검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고 말했다.

회의에서는 민·관·군·경 통합방위태세, 국가 주요시설 방호태세 확립, 국민 안보의식 강화 등 세 가지 주제가 토론됐다. 서울시장과 광역시장, 도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민구 합참의장 주관으로 열린 토의에서는 화랑훈련(군)과 민방위훈련 등을 통합 시행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또 탈북자와 예비역, 전문가 등을 안보강사로 확충해 학생들에게 안보교육을 강화하자는 의견도 제시됐다.

회의 복장도 달라졌다. 지난해 회의까지는 정장과 정복을 입었던 참석자들이 모두 민방위복과 전투복을 입었다. 중앙통합방위회의는 매년 1회 개최되며, 통합방위본부장인 합참의장을 비롯한 국정원장, 16개 시·도지사, 군 주요 지휘관, 각 부처 장관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2009년과 올해 회의에 참석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