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기춘의 보복?… 음모론 휩싸인 검찰
입력 2011-02-18 18:45
각종 암투론에 뒤숭숭… 이귀남 법무 궁지에 몰려
검찰이 뒤숭숭하다. 이귀남(사진) 법무부 장관이 일선 검찰청 수사에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의혹이 시발점이다. 논란이 확산되면서 ‘남기춘 전 서울 서부지검장의 복수극이 아니냐’는 해석부터 ‘향후 상황에 따라 이 장관 자리가 위태로울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는 등 각종 암투론에 검찰 내부가 크게 술렁거리고 있다.
18일에는 이 장관이 지난해 3월 말 당시 남기춘 울산지검장이 지휘하던 한나라당 기초단체장 등의 선거법 위반 사건 수사에 부적절한 영향력을 미치려 했다는 의혹이 새로 제기됐다. 이에 대해 법무부는 “당시 법무부 모 간부가 한나라당 관계자들에 대한 기소 시점을 하루 늦추기 위해 남기춘 울산지검장에게 전화한 건 맞지만 이는 각급 검찰청이 선거법 위반 등 중요 사건을 장관에게 보고하도록 돼 있는 검찰보고사무규칙에 따른 것”이라며 “장관의 수사지휘와는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법무부 해당 간부도 “업무상 외부에 나가 있는 경우가 많은데 밖에 있는 날 기소가 이뤄지면 자세한 내용 파악이 안돼 실무 편의상 기소를 하루 미뤄줄 수 있는지 문의한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날 이 장관의 한화그룹 수사 불법 수사지휘 논란이 불거진 지 하루 만에 새로운 의혹이 더해지자 법무부와 검찰 분위기는 무거웠다. 두 사건 모두 남 전 검사장이 지휘했던 사건이어서 남 전 검사장이나 그를 동정하는 검사들이 이 장관의 뒷덜미를 잡으려는 게 아니냐는 억측까지 나왔다.
이 장관은 한화 수사 당시 사석에서 남 전 검사장 교체를 공공연하게 얘기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분위기를 감지한 남 전 검사장은 결국 옷을 벗었다. 남 전 검사장은 한화 수사가 외압 탓에 쉽지 않다는 점을 피력한 적이 있다. 이에 따라 남 전 검사장이 ‘내가 수사를 잘못해서 물러난 게 아니다’라는 명예회복을 시도하고 있다는 설도 나돈다.
난처한 입장에 처한 이 장관은 18일에도 평소 일정을 그대로 소화했다. 이 장관은 어떤 식으로든 두 사건에 부적절하게 개입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검찰 안팎에선 이번 파동으로 법무부와 검찰 수뇌부가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용훈 기자 co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