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사회상은 지금…하메네이 주도 神政체제 빈부격차 심해 내부갈등
입력 2011-02-17 19:55
이란은 서남아시아에 위치한 이슬람 공화국이다. 비(非)아랍국이면서도 중동의 주요국이며 세계 반미국가의 선봉이다.
대규모 시위가 예고된 18일은 이란의 이슬람 혁명 32주년 기념일이다. 이란은 억압적인 신정(神政) 체제지만 엄연히 민주선거로 정권이 교체되는 나라다. 헌법상 대통령의 연임을 1회 보장하고 삼권분립을 표방한다.
1979년 이슬람 혁명으로 팔레비 왕조가 무너진 이후 신정과 서구식 입헌 민주주의 요소를 결합한 정치시스템을 갖췄다. 정치권력은 대통령(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등 선출직과 종교지도자인 최고지도자(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가 공유한다. 하지만 국가 최고 통치권은 최고지도자가 갖고 있다.
이슬람 국가지만 수니파가 지배종파인 아랍권과 달리 이란은 시아파 종주국이다. 수니파와 달리 시아파는 정치에 직접 개입한다. 내부의 역학관계도 복잡하다. 성직자는 사법부를 장악했고, 군부는 무역을 장악했다. 미국으로선 현 이란 정권이 무너지길 바라지만 이란 국내 정세에 직접 영향력을 미치기는 어려운 처지다. 정당의 역할은 유명무실하다. 87년 이슬람공화당 해체 뒤 공식 정당은 없고 100여개의 정치단체가 활동 중이다.
빈부격차도 심하다. 서민들은 지난 20년간 부동산 등 자산가치가 올라 부자가 된 ‘도시 신귀족’층에 반감이 상당하다. 지난해 12월 밀가루 석유 가스 전기 물 등의 가격이 줄줄이 인상됐는데, 정부는 최근 생필품 보조금을 삭감했다. 따라서 강경 이슬람 세력이 주도하는 권위주의 체제에 대한 불만, 빈부격차 심화, 물가 폭등 등이 2009년 대선 이후 2년 만에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촉발시켰다.
시위대는 그동안 성역으로 여겨졌던 하메네이의 퇴진까지 요구하고 있다. 이는 현 정권뿐 아니라 신정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로 볼 수 있다. 이란의 이슈는 이집트처럼 ‘독재냐 반독재냐’라기보다 ‘시민의 자유가 있는 세속 국가냐, 반미 신정체제 유지냐’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