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매몰지 실태조사] 정부 “오염물질 99% 정수·소독… 걱정 안해도 된다”

입력 2011-02-18 00:23

부실 가축 매몰지가 속속 드러나며 마실 물 걱정이 커지고 있다. 하천에서 불과 3∼5m 떨어진 곳에 가축을 매몰한 곳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일부 지역에선 거품 섞인 지하수가 나오는 등 침출수로 인한 오염이 현실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17일 “침출수가 상수원에 유입될 경우에도 미생물과 각종 오염물질은 정수처리가 가능해 수돗물은 안전하다”고 진화에 나섰다. 살모넬라, 바실러스, 장내세균 등 미생물은 약품처리와 염소 소독을 통해 99.9% 이상 처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가축이 썩으면서 나오는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등 무기물질도 처리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또 침출수가 주변 하천 및 상수원으로 유입된 사례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과 지하수 유속이 매우 느리다는 기존 연구 결과도 환경부가 수돗물의 안전성을 주장하는 근거다.

그러나 축산 농가에서 사용하는 항생제 등 각종 약품과 가축 매몰지에서 급격히 증식한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안전하다고 장담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매몰지 인근 지역 주민의 불안은 더욱 크다. 경기도 김포 지역에선 가축 매몰 이후 지하수에 거품이 섞이고 불쾌한 냄새가 나는 사례가 보고됐다.

환경부는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염소 이온 수치가 동시에 상승할 때만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으로 판정하는 관행을 들어 침출수의 영향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주변에 밀집한 축산단지에서 나온 분뇨와 퇴비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지하수 관정을 폐쇄하고 상수도 인입관을 연결해 쓰도록 조치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1∼4월 구제역이 발생한 17개 시·군의 상수도 미보급 지역에 857억원을 지급했다. 하지만 이 공사는 아직 설계 단계이고, 상반기 중에나 완공될 예정이다. 더욱이 지난해 11월 이후 구제역이 발생한 지역에 대해선 상수도 보급 예산을 지원해 준다는 약속만 해놓은 채 재원 확보도 못 하고 있는 상황이다. 환경부는 추가 예산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반면 기획재정부는 환경부 예산으로 우선 지급하라고 맞서고 있다.

선정수 조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