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상류 가축 매몰지 27곳… 붕괴·유실, 침출수 유출 우려”

입력 2011-02-18 00:18

한강 상수원 상류지역 구제역 가축 매몰지 27곳에서 붕괴·유실, 침출수 유출 우려가 있는 것으로 정부 조사결과 밝혀졌다. 이로써 지난달 경북 낙동강 상류 지역 정밀조사 결과 드러난 61곳과 함께 부실 매몰지는 88곳으로 늘어났다. 정부는 “침출수 유출로 인한 상수원 오염 우려는 없다”고 주장했지만 정작 상수원 상류 지역의 매몰지 수조차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나 불안감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환경부는 17일 한강 상류지역 가축 매몰지 조사결과 “환경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며 “침출수가 주변 하천이나 상수원으로 유입된 사례가 없고 유입되더라도 정수처리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문제점이 지적된 매몰지 12곳은 하천으로부터 30m 이상 떨어져야 한다는 지침을 위반했다. 비탈진 지역에 위치한 매몰지도 4곳이었다. 11곳은 배수로 등이 설치되지 않아 폭우가 쏟아지면 유실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조사대상 99곳 중 16곳은 인근 지역의 매몰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는 등의 이유로 조사단이 접근하지 못했다. 이번 조사는 경기 강원 충북 지역 매몰지 2926곳 중 2.83%에 대해서만 진행됐다. 정부는 “상수원 상류 지역 매몰지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의 1차 조사 결과 문제점이 발견된 99곳을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환경부는 상수원 상류 지역에 가축 매몰지가 몇 개나 조성됐는지 파악조차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자체에서 매몰지 전체가 아니라 부실 우려가 있는 매몰지 목록만 일러줬기 때문에 파악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금강 상류지역은 아예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환경부는 “금강 유역은 강에서 직접 취수하지 않고 댐에 가둬놓은 물을 취수하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댐으로 유입되는 수계에 위치한 매몰지 정보에 대해서는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문제점이 지적된 27곳은 대부분 소규모 매몰지로 확인돼 지자체들이 부실 매몰을 감추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환경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전국 매몰지 4000여곳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경기도 안성, 충북 진천 등 상수원 하류지역 대규모 매몰지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면 전국 부실 매몰지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4면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