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탈선사고’ 의혹 무성한데 소관부처 1주일째 함구… 모르나 숨기나
입력 2011-02-16 18:47
광명역에서 발생한 KTX 탈선사고의 원인을 둘러싼 갖가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코레일과 소관 부처인 국토해양부,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인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모두 관련 내용에 대한 함구령이 내려져 오히려 의혹을 키우는 상황이다.
16일 국회 국토해양위 소속 한 의원실에 따르면 사고 당일 선로전환기 제어용 컨트롤박스의 노후 전선을 교체한 외주업체 K사는 코레일과 6개월짜리 단기공사 계약을 맺었다. 의원실 관계자는 “통상 외주업체와의 계약은 1∼3년 정도지만, 특정 공사를 맡을 때는 계약기간이 수개월에 불과하다”면서 “이럴 경우 철도에 대한 전문성이나 안전에 대한 고려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코레일 측은 “해당 공사업체는 지난해 11월부터 오는 4월까지 KTX 선로의 노후 케이블 교체를 맡은 업체”라며 “계약기간은 공사기간에 따른 것일 뿐 외주업체와의 계약기간을 사고 원인과 연관시키는 건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이번 사고 발생의 단초로 지목되고 있는 ‘너트 분실’ 여부와 관련해서도 코레일과 외주 공사업체 간 진실 공방으로 치닫는 분위기다. 코레일은 지난 14일 사고 원인에 대한 브리핑에서 “업체 직원이 컨트롤박스 안에 있는 노후 케이블을 교체하다가 너트를 분실한 것”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공사를 맡았던 K사 직원들은 너트를 건드린 적도 없다고 주장하는 상황이다. 국토부와 코레일은 K사 직원들의 언론 접촉을 철저히 차단하는 등 입단속을 하고 있어 사고 원인에 대해 짜맞추기를 시도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K사 직원들이 너트를 건드린 적도 없다고 주장하는 데 대해서도 국토부는 아무런 해명을 하지 않고 있다.
KTX 개통 때부터 현장관리를 담당한 경력 9년차 코레일 직원의 컨트롤박스 점검과정 역시 쉽게 이해되지 않는 대목이다. 이 직원은 컨트롤박스의 접촉 불량 원인을 찾지 못한 채 신호표시를 상행선으로만 고정시킨 데 이어 배선도 잘못 연결했다고 코레일은 발표한 바 있다.
사고가 발생한 지 1주일째로 접어들면서 의혹은 꼬리를 물고 있지만 국토부는 피조사기관인 코레일 측에 서둘러 사고 원인 발표를 한 뒤 굳게 입을 다물고 있다. 코레일 측도 피조사기관임을 이유로 공을 국토부로 넘기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원인 조사와 관련해 제기되는 의혹에 대해서는 일일이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