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매몰지 대란] 김문수 “구제역 매뉴얼 바꿔라”

입력 2011-02-15 21:32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15일 열린 ‘구제역 매몰지 관련 9개 시·도 단체장 영상회의’에서는 정부 구제역 매몰 매뉴얼에 대한 성토와 함께 공동 매몰지 설치 등 각종 제안이 쏟아졌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구제역 진단을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독점해 지방자치단체가 항원진단키트를 개발하려 해도 바이러스를 구하지 못해 연구를 못한다”며 “구제역 매뉴얼과 조사·검사의 모든 대책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992㎡(약 300평) 규모에 깊이 6m의 대형 콘크리트로 공동가축 매몰지를 만드는 방안을 건의한다”며 “돼지 9만 마리를 한꺼번에 매몰할 수 있으므로 시·군별로 1개씩 설치하는 것을 검토해 달라”고 말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매몰지 1곳당 225만원의 비용을 지원받는데 실제로는 1153만원이 든다”며 “국비 지원과 함께 수질전문가와 토양전문가를 지원해 달라”고 건의했다. 다른 시·도 단체장들도 침출수 문제 해결을 위한 유용미생물을 조기 보급해 줄 것 등을 요구했다.

이에 맹 장관은 “매몰지 관리는 시간과의 싸움”이라며 “매몰지별로 담당 공무원을 지정하고 일일점검하는 등 매몰지 관리를 철저히 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서울 하월곡동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구제역 가축 매몰지 환경 영향 대책 마련 전문가 토론회’에서도 침출수 누출 등 구제역 2차 환경재해 방지를 위한 전문적인 대책과 관련 기술이 제시됐다.

이승학 KIST 물환경센터 선임연구원은 120∼150도의 고온으로 가축을 녹여 없애는 ‘렌더링(Rendering)’ 방식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열처리 방법은 침출수 누출 우려가 없고, 대용량 동시 처리가 가능하며 부산물(육골분)을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황일송 민태원 기자 il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