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여론조사 경선 퇴출 검토
입력 2011-02-15 18:06
민주당이 대선 후보 등 공직 후보자 선출과정에서 여론조사 경선을 퇴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민주당은 2002년 노무현·정몽준 대선 후보 단일화를 위해 정당 사상 처음으로 여론조사 경선을 도입했었다.
당 개혁특위는 대신 국민참여경선으로 대선(100% 국민경선), 지역구 국회의원(국민경선+당원경선) 후보를 뽑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특위가 여론조사 경선을 배제키로 한 데는 지난해 6·2 지방선거에서 드러난 여론조사의 신뢰성 문제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또 공천 단계에서 진행되는 여론조사가 단순 인지도 조사에 그친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지역에 이름이 알려진 전·현직 의원이나 단체장 출신 인사 등이 높게 나올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집 전화를 통한 현행 여론조사가 응답률이 지나치게 낮고, 휴대전화 사용자인 20∼30대 표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점도 여론조사 경선 퇴출론이 나오는 이유다.
그러나 이른바 ‘체육관 선거’의 폐해를 막기 위해 도입한 여론조사 경선을 버릴 경우 다시 조직선거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민참여경선으로 치러진 2002년, 2007년 대선 후보 경선 때 ‘명부 떼기’ 등 폐해가 적지 않았다는 지적도 있다.
엄기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