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매몰로 인한 상수원 오염 꼭 막아야
입력 2011-02-15 17:35
이달 들어 구제역 추가발생 빈도와 살처분 가축수가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지난 석 달 동안 땅에 묻은 가축이 300만 마리에 육박하고 매몰지도 4600곳을 넘어서면서 이제는 2차 오염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매몰지 인근에서 시뻘건 침출수가 흘러나오고, 급기야는 상수원 보호구역 안에서도 가축을 매몰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식수 안전에도 비상이 걸렸다.
경기도의 경우 소, 돼지 160여만 마리를 묻은 매몰지 2000여 곳 가운데 팔당상수원보호구역으로부터 15㎞ 이내 매몰지가 77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하천으로부터 30m 이내에 조성하지 못하도록 한 매뉴얼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반한 매몰지가 149곳이고, 85곳은 급경사지역에 설치해 장마철 붕괴·유실 위험이 크다고 한다.
심각한 것은 상수원보호구역 안에서도 가축 매몰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경기도는 상수원보호구역 안에는 축사를 설치할 수 없는 만큼 매몰지도 없다고 주장했으나 환경부는 80여개 농가가 당국의 감독 소홀을 틈타 이곳에서 축사를 운영했다고 밝혔다. 당연히 이번 구제역으로 그 안에서 매몰처분이 이루어졌고, 심지어 하천 바로 옆에 묻은 사례도 적지 않다고 한다. 침출수가 하천으로 새나오면 상수원으로 흘러들고, 그 경우 살모넬라와 장티푸스 균, 암모니아성 질소 등 유해화학물질로 상수원이 오염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번 구제역에 대한 정부의 조치는 초기 뒷북대응부터 무분별한 살처분에 이르기까지 부실하기 짝이 없었다. 그 때문에 구제역이 종식되더라도 완벽한 후속관리가 뒤따르지 않으면 또 다른 재앙이 닥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정부는 어제 행정안전·농림수산식품·환경부 장관 합동으로 종합대책을 발표, 매몰지 환경관리를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 오염을 원천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한 치의 차질 없이 대책을 추진해 2차 재앙만큼은 꼭 막아야 한다. 특히 전국민의 식수원 보호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식수에 대한 불신은 심각한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