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민생특위’ 구성 합의… 이르면 2월16일 국회 열릴 듯
입력 2011-02-14 22:11
여야는 14일 2월 임시국회 등원을 위한 민생특위 구성에 합의했다. 그러나 특위 구성 비율 등을 놓고 의견이 엇갈려 국회 일정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양측은 의견 조율을 계속한다는 방침이어서 이르면 16일쯤 국회가 열릴 수 있다는 관측이다.
한나라당 김무성,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양당 수석원내부대표와 함께 4자회담을 개최했다. 양측은 회담 시작 전 “요즘 복날 개만큼 맞았다”(박 원내대표) “머리 좋은 박 원내대표하고 붙은 저만 만날 깨진다”(김 원내대표)며 농담을 주고받았다. 그러나 비공개 회담에서는 고성이 나오기도 했다.
민주당은 구제역 국정조사, 5대 특위 구성, 5대 날치기 법안 우선 처리 등 세 가지를 요구했다. 5대 특위는 민생·남북관계·연금제도·정치개혁·공항 주변 민원 해소 등이다. 양측은 5대 특위를 구성하자는 데는 의견 접근을 이뤘지만, 특위 구성 비율을 놓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구제역·물가·전세난·일자리 문제를 다룰 민생특위의 경우 민주당은 여야 동수를 주장했고, 한나라당은 의석수 비율에 따라 한나라당 14명, 민주당 7명, 비교섭단체 3명으로 해야 한다고 맞섰다.
김 원내대표는 회담 직후 기자들과 만나 “특위는 당연히 의원수 비율대로 하는 것”이라며 “구제역은 아직 사안이 안 끝났는데 국정조사를 하자는 게 말이 되느냐”고 비판했다. 반면 박 원내대표는 “구제역의 심각성이 하루가 다르다”며 국정조사를 요구했다. 민주당은 또 친수구역활용특별법·과학비즈니스벨트법·서울대법인화법·LH법·아랍에미리트연합(UAE) 파병동의안 등에 대한 수정안 및 폐기안을 우선적으로 심의하자고 주장했으나 한나라당은 상정까지만 동의했다.
엄기영 유성열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