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공항 논란] 대다수 지방공항 고질적 ‘적자 운영’
입력 2011-02-13 19:57
지난해 국내 항공수요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대다수 지방 공항에 이는 먼 나라 이야기에 불과하다. 김포와 제주 등을 제외한 국내 공항의 상황은 매년 더 악화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국내 공항을 관리하는 한국공항공사는 2009년 김포와 제주, 김해공항에서 1541억원을 벌었다고 13일 밝혔다. 하지만 나머지 공항에서 480억원의 적자를 봤다. 지난해 수익집계는 아직 덜 됐지만 항공업계에서는 이들 3개 공항에서 번 돈으로 다른 공항 적자를 메우는 구조가 이어졌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문제는 이를 타개할 수 있는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 일부 지방 공항이 면밀한 수요예측 없이 정치적 논리로 들어선 탓에 처음부터 수익을 기대할 수 없었다. 장사가 되던 공항들도 KTX 등 새 교통수단의 등장으로 기능을 잃어가고 있다.
영남권의 포항과 울산, 사천공항 등은 KTX 직격탄을 맞은 사례다. 지난해 11월 KTX 2단계 개통 후 두 달 만에 김포~울산 이용객은 35.4%, 김포~포항 이용객은 13.2% 줄었다. 이를 근거로 호남선 KTX가 완공되는 2014년이면 광주나 군산공항 역시 이름뿐인 공항이 될 것이란 목소리가 높다.
2002년 개항한 양양공항은 2009년 운항편수가 0이었다. 김영삼 정부 시절 선심성 공약으로 사업 추진이 결정됐던 탓에 수요 예측이 잘못됐던 것. 연간 317만명을 처리할 수 있는 여객터미널이 텅 비어있었다. 그나마 지난해 7월부터 양양∼김해 노선에 21인승 프로펠러기가 취항하면서 ‘유령 공항’ 상태를 벗어났다.
공항을 둘러싼 지자체 간 다툼도 지방 공항 구조조정과 운영을 어렵게 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무안공항과 광주공항의 다툼이다. 국토해양부는 지난달 발표한 제4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에서 광주공항의 국내선 기능을 무안공항으로 이전, 통합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하지만 광주의 반발이 심해 논의의 진전이 없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선을 내주기는커녕 이미 떼 줬던 국제선 노선도 다시 회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며 “무안으로 옮기자고 했다간 시장이든 국회의원이든 자리를 지킬 수 없다”고 말했다. 역풍을 우려한 국토부도 방관만 하며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공항공사는 ‘공급이 있어야 수요가 창출된다’는 이유로 항공사들의 도움을 바라고 있다. 실제 군산공항은 이스타항공의 취항으로 항공편이 늘면서 연간 7만~8만명이었던 이용객이 2배 이상 증가했다. 공항공사 관계자는 “이는 공급이 늘었기 때문”이라며 “원주, 양양공항 활성화를 위해 지역 저가항공사를 설립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존 항공사들은 추가 운항에 회의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김포~제주 등 일부 노선을 제외한 대다수 국내선은 돈을 벌기 위한 목적보다는 대국민 서비스 차원에서 유지하는 것”이라며 “추가적인 손해를 보면서까지 노선 운항 편수를 늘리기란 쉽지 않다”고 말했다.
김도훈 기자 kinch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