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상류 구제역 매몰지 32곳 중 16곳 침출수 유출·붕괴 우려
입력 2011-02-11 21:33
환경부는 11일 경기도 양평과 남양주, 강원도 춘천과 원주 등 한강 상류지역의 구제역 감염 가축 매몰지 32곳의 절반(16곳)이 침출수 유출, 붕괴 등의 우려가 있어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11곳은 하천에 인접해 있어 침출수가 유출될 경우 수질오염이 우려된다. 4곳은 빗물을 매몰지 바깥으로 빼낼 배수로가 필요했고, 1곳은 매몰지 사면이 불안정해 옹벽 설치가 요구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정확한 오염 실태는 국립환경과학원의 조사 결과가 나와 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14일까지 경기 77곳, 강원 17곳, 충북 5곳 등 총 99곳의 구제역 가축 매몰지에서 붕괴·유실 가능성과 침출수 유출 여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해당 지역은 식수원으로 활용되는 한강 상류지역의 매몰지 2926곳 중 각 지방자치단체의 1차 조사에서 매몰지 유실이나 침출수 유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곳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4∼27일 낙동강 상류에 있는 경북 지역 매몰지 89곳을 정밀 조사해 매몰지 붕괴 또는 침출수 유출이 우려되는 61곳을 확인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1일 시·도 영상회의를 열고 구제역 감염 가축 매몰지에 대한 현장조사에서 문제점이 발견된 곳은 시·도 부단체장이 정비작업을 직접 관리토록 지시했다. 민주당 김효석 의원은 이날 대규모 가축 매몰 처분 때 나오는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해 지자체가 의무적으로 대책을 수립·시행토록 하는 내용의 상수도법 개정안과 지하수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구제역으로 매몰된 가축 수는 이날 오전 8시 현재 돼지 311만2564마리, 소 15만502마리 등 326만3000여 마리에 이른다. 전체 구제역 발생 지역은 시·도 9곳과 시·군·구 70곳이다.
김정현 기자 k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