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금미호 석방 이후 안도할 때 아니다

입력 2011-02-10 18:00

작년 10월 9일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됐던 금미305호가 피랍 123일 만인 9일 풀려났다. 한국인 선장 김대근씨와 기관장 김용현씨 외에 중국인 2명, 케냐인 39명 등 모두 43명이 승선해 있는 금미호는 소말리아 해역에서 활동 중인 청해부대의 요청으로 금미호 부근에 있던 핀란드 군함의 보호를 받으며 안전지대로 이동 중이다. 해적들은 끝내 석방금을 받지 못하고 조건 없이 일방적으로 풀어준 것으로 알려졌다.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한다.

해적들은 금미호가 영세한 어선이어서 몸값을 받을 가능성이 없음을 깨달은 데다 선원 대부분이 이웃나라인 케냐인이고, 43명이나 되는 인질을 먹이는 일도 부담스러워 풀어준 것으로 보인다. 청해부대의 삼호주얼리호 구출작전 성공도 고려됐을 터이다.

오랜 기간 해적들에게 시달리며 열악한 처우를 견뎌낸 선원들의 고통에 위로를 보낸다. 특히 영양결핍 등으로 건강을 해친 선원들에 대해 각별한 보호가 있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해적에게는 협상도, 석방금도 없다는 원칙을 관철한 점도 평가할 만하다.

삼호주얼리호에 이어 금미호까지 해결됨으로써 소말리아 해적으로 인한 당장의 우환은 모두 해소됐다. 그러나 앞으로도 우리 선박이 해적에게 납치당할 가능성은 여전하다. 해적들이 석방금을 받지 않고 납치 선박을 일방적으로 풀어주는 일이 다시 있으리란 보장이 없다. 해적들이 삼호주얼리호 구출작전에 대한 보복을 노릴 가능성도 없지 않다. 납치가 빈발하는 인도양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청해부대의 역할에는 한계가 있다. 상선을 운영하는 해운사들은 무장요원을 승선시키거나 피난실 설치 같은 자구적 안전조치를 서둘러야 한다. 그럴 형편이 안 되는 원양어선들은 어획량 욕심에 위험한 해역으로 들어가는 만용을 부리지 말아야 한다.

또 하나 지적할 것은 납치와 관련한 언론의 과잉 보도이다. 인질이나 유괴 사건과 마찬가지로 언론의 과도한 관심은 협상에서 반작용을 부른다. 대부분 나라가 국내외의 피랍 사건 보도를 자제하는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