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금리인상 여파… 인플레 억제 정책 전세계 확산 조짐

입력 2011-02-09 18:44


중국의 금리인상에 이어 아시아와 중남미 등 여타 국가들도 인플레 억제 정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이를 위해 아시아 국가들은 자국 통화의 평가절상(환율하락)을 꾀하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중국의 금리인상은 불충분하기 때문에 추가 조치가 불가피하다는 관측도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 아시아판(AWSJ)은 9일 ‘아시아 통화들도 인플레 전쟁에 동참했다’는 기사에서 달러에 대한 말레이시아 링깃과 대만 달러의 가치가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면서 이같이 분석했다.

AWSJ는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 피오나 레이크의 말을 인용, “아시아 지역 금융당국이 여러 정책 가운데 취하게 될 최후 수단은 통화가치 절상”이라며 “한국 인도네시아 대만이 인플레 억제를 위해 이러한 정책을 채택하려는 강한 욕구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AWSJ는 또 한국은행이 오는 11일 인플레 억제를 위해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많은 애널리스트가 전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다우존스 뉴스와이어는 한국의 금리인상 여부에 경제학자들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로이터는 8일 브라질과 칠레도 인플레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면서 이들 국가의 금리인상 부담도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로이터는 중국이 지난해 10월 이후 세 번째 금리를 인상했음을 상기시키면서 인도 태국 페루 이스라엘도 지난달 잇달아 금리를 올린 사실을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8일 유럽중앙은행(ECB)이 아직은 저금리 기조를 내세우고 있으나 ECB 이사가 조건부 인상 발언을 했다고 전했다. 이브 메르시 이사는 ECB의 인플레 목표치가 2%임을 상기시키면서 “현재로선 인플레 압박이 일시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위험하지는 않다”면서도 “인플레 압박이 확산될 조짐이 보이면 통화 당국이 적극 개입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9일 중국이 금리를 추가로 0.25% 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대부분 경제학자들이 내다보고 있다고 전했다.

정원교 기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