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개헌 의총’ 종료… 우여곡절 끝 ‘특별기구’ 구성 결의

입력 2011-02-09 21:26


한나라당은 9일 국회에서 이틀째 개헌 의원총회를 열어 우여곡절 끝에 당내 개헌 특별기구를 구성키로 했다. 이재오 특임장관을 필두로 개헌 드라이브를 걸어온 친이명박계는 전날에 이어 개헌 찬성 발언을 쏟아냈다. 개헌 논의에 부정적이던 친박근혜계와 소장파 일부는 전날의 ‘침묵’을 깨고 소신 발언을 내놨다.

◇박수로 특별기구 결정=의원 113명이 참석했다. 8일 참석자 130명에 비해 다소 줄었다. 친박계에서는 이정현, 이학재 의원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개헌 필요성과 당내 논의 기구 설치를 주장하는 발언들이 이어지자 김무성 원내대표가 중간에 나섰다. 김 원내대표는 개헌 논의를 위한 당내 기구 구성을 의결하자고 제안하며 “이의 있느냐”고 물었다. 개혁성향의 초선 의원 모임인 ‘민본21’ 소속 김세연, 황영철 의원이 손을 들어 “토론을 더 해 봐야 되는 것 아니냐”고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

이에 김 원내대표는 “여러분의 뜻을 알겠으니 원내대표에게 맡겨 달라”며 설득했고 당시 의총장에 있던 90명이 박수로 추인했다. 김 원내대표는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최고위원회 의결을 통해 격을 높여 최고위 산하에 두거나 정책위원회 산하에 구성하는 방안을 놓고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특별기구 활동 잘될까=기구 구성까지 합의하면서 큰 고비는 넘겼지만, 향후 활동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친박계와 소장파 상당수가 현 시점의 개헌 논의가 부적절하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남경필 의원은 “기구를 구성해도 18대 국회에서 (결론을) 내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논의를 축적해 19대 국회에서 결정해 차기 대통령 임기 초반에 마무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친박계 의원들도 기구에 포함시키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친박계가 참여할지, 참여하더라도 적극적으로 활동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전망이 많다. 친박계 이해봉 의원은 “당이 새로운 갈등을 왜 초래하느냐. 시기가 적절치 않다”며 특위 구성을 반대했다.

◇강명순, “박근혜, 빚 갚아야” 논란=의총 도중 빈곤, 아동 복지 문제에 앞장서 온 강명순 의원이 “(1970년대 빈민운동을 하느라) 나와 남편은 고생했는데 박근혜 전 대표는 청와대에서 잘 먹고 잘 지냈다”며 “그 빚을 갚아야 한다”고 말해 논란이 일었다. 그는 “박 전 대표가 주장하는 맞춤형 복지를 하려면 헌법 개정을 해야 하고, 그래야 그 빚이 자동적으로 갚아진다”고 주장했다. 이에 박 전 대표의 비서실장격인 이학재 의원이 의총장에서 “당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경제 발전의 초석이 됐고 박정희 전 대통령은 국민의 70%가 존경하는 대통령”이라며 “청와대에서 잘 먹고 지냈다는 발언은 적절치 않다”고 반박했다. 대다수 참석자가 강 의원의 발언이 부적절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강 의원은 추가 신상 발언을 통해 “나는 ‘빈곤당 아동계’”라며 계파나 정치적 의도가 없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당시 유신헌법을 비판하는 등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김나래 유성열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