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까지 교실 옮겨 다니며 수업 받는 ‘교과교실제’ 전체 중·고교 실시
입력 2011-02-09 18:38
중·고교생이 대학생처럼 교실을 옮겨 다니며 수업을 받는 ‘교과교실제’가 2014년까지 전체 중·고교로 확대된다. 교원단체들은 환영 입장을 밝히면서도 교사 충원 및 특정 과목 편중 지양 등의 조건이 전제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09년부터 시범운영 중인 교과교실제를 전체 중·고교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교과교실제 전면 확대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현재는 전체 중·고교의 약 15%인 806개교에서 교과교실제가 운영되고 있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내년까지 모든 일반계 고교에 교과교실제가 도입되고 2014년까지는 모든 중·고교로 확대된다. 농어촌·중소도시 6학급 이하 소규모 학교를 빼고 전체 학교의 90%에 이 제도가 도입되는 것이다. 교과교실제가 실시되면 학생들은 수준별로 원하는 수업을 들을 수 있고, 다양한 학습 기자재가 갖춰진 교실에서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교과부는 예산 범위 안에서 단계적으로 교과교실제를 시행하기 위해 일선 학교에 ‘선진형’과 ‘과목중점형’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할 계획이다. 선진형은 대부분의 교과에 적용하는 것이고, 과목중점형은 학교 선택에 따라 최소 2개 이상의 교과만 적용하는 유형이다. 선진형에는 교실 리모델링, 증축비 등으로 학교당 평균 7억원, 과목중점형에는 3억원가량의 예산이 지원된다. 학령인구 감소로 전국 856개교에 3340개의 빈 교실이 확보돼 적은 비용으로 교과교실 구축이 가능하다는 게 교과부 설명이다.
교과부는 교과교실제 전면 확대에 맞춰 올 상반기 국어 영어 수학 등 7개 교과의 과목별 수업 모델을 개발해 일선 학교에 제공할 예정이다. 교과부는 교과교실제 확대를 위해 기간제 교사 채용을 확대하고 기간제 교원의 근무실적이 우수할 경우 정규 교원 임용 시 우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에 대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교원 충원, 학생 이동을 고려한 공간 배치 등 유·무형의 인프라 구축이 면밀히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동훈찬 정책실장은 “교과교실제가 특정 과목에만 적용될 경우 국영수 이동수업 수준으로만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며 “교과과정 전체가 바뀌도록 재정 지원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