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친이계 “개헌은 18대 국회 한나라 당론” 주장

입력 2011-02-08 01:02

한나라당 개헌 의총을 하루 앞둔 7일 이재오 장관과 친이명박계가 ‘18대 국회에서의 개헌 추진은 한나라당 당론’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 장관은 자신의 트위터에 “2007년 4월 13일 한나라당은 차기 정부에서 개헌을 추진키로 당론을 확정했다”며 “그 후 한번도 이 당론이 변경된 바 없다”고 적었다. 이 장관의 측근인 권택기 의원도 전날 ‘함께 내일로’ 간담회에서 이를 상기시키며 “이번 의총은 개헌 당론의 집행을 요구하는 자리”라고 했다.

이는 2007년 4월 노무현 대통령이 ‘원 포인트’ 개헌을 발의하려 하자 여야가 반대해 개헌 논의를 18대 국회로 미뤘던 것을 언급한 것이다. 그해 4월 11일 여야 6개 정당 원내대표는 회담을 갖고 “개헌 문제는 18대 국회 초반에 처리키로 한다”는 합의문을 작성한 뒤 노 대통령의 개헌 발의 철회를 요구했다. 그리고 이틀 뒤 한나라당은 의원총회에서 ‘18대 국회에서 국회가 주도적으로 한다. 4년 중임제를 포함한 모든 개헌 논의를 한다. 차기 대통령 임기가 완료될 때까지 개헌이 되도록 노력한다. 우리 대선 후보가 확정되면 공약으로 정한다’는 4대 원칙을 확인한 뒤 박수로 당론임을 확인했었다. 이 장관과 친이계는 개헌 추진이 당론으로 결정됐으니 이를 뒤집으려면 소속 의원 3분의 2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한나라당 당론이 여야 합의를 토대로 18대 국회 초반에 추진한다는 의미였기 때문에 현시점에서는 효력을 상실한 것이라는 주장도 내놓고 있다.

한편 친박근혜계 의원 13명이 이날 오찬 회동을 가져 의총 관련 회의를 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회동을 주선한 서병수 최고위원은 “새해를 맞아 점심이나 먹자고 2주 전에 정했던 것인데 공교롭게도 의총과 우연히 겹치게 된 것”이라며 “개헌에 대한 얘기가 오가긴 했지만 어떤 결론을 내린 것은 없다”고 해명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조직적으로 대응해서 마치 친박·친이로 나뉘어 싸우는 것처럼 보일 필요가 있느냐는 의견이 많았다”면서 “의총 참석이나 발언 여부는 각자 알아서 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김나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