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회담, 정치 선진화·FTA 등 의제 검토

입력 2011-02-07 21:35

민주당이 국회 등원과 영수회담을 분리하기로 결정하면서, 이르면 다음주 중 이명박 대통령과 민주당 손학규 대표 간의 영수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대통령이 제1 야당인 민주당 대표와 회동하는 것은 2008년 9월 정세균 대표와 만난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청와대는 영수회담과 관련, ‘내용 있는 영수회담이 돼야 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만나면 성과가 있어야지 ‘왜 만났느냐’는 얘기를 들어서는 곤란하다”며 “아직 시간이 있는 만큼 손 대표 측과 충분히 조율해 의미 있는 회담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선거구제와 행정구역 개편 등 정치 선진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일자리 창출, 기후변화 대응 등 국가 현안을 의제로 상정하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야당 대표의 의견을 허심탄회하게 듣겠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2008년 이 대통령과 정세균 대표와의 회동을 모범 사례로 거론한다. 당시 이 대통령과 정 대표는 영수회담을 통해 경제 살리기에 대한 초당적 협력, 지방행정체제 개편 추진 협력 등 7개 항에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 민주당 내부에서는 “얻은 게 별로 없다”며 정 대표에 대한 비판 기류가 형성되기도 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