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일단 등원”… 정국 정상화 돌파구 마련

입력 2011-02-07 21:36


민주당이 7일 청와대 영수회담과 국회 등원 문제를 분리키로 결정하면서 영수회담 변수로 자칫 백지화될 뻔했던 국회 정상화에 돌파구가 마련됐다. 임시국회가 당초 한나라당·민주당 원내대표 합의대로 14일부터 개최될지는 아직 불투명하지만 2월 중에는 열릴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어 이명박 대통령과 손학규 대표 간 영수회담과 국회 정상화를 위한 등원 문제를 분리해서 판단하고, 일단 등원은 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전현희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두 문제를 상호 조건으로 삼지 말고 분리해서 대응하자는 의견이 다수였다”며 “구제역과 물가, 전세난 등 산적한 민생 현안 해결과 관련해 등원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의원이 다수였으나 최종 결정은 지도부에 일임키로 했다”고 밝혔다.

등원 시기는 청와대와 한나라당 태도를 1주일 정도 지켜본 뒤 결정하기로 했다. 지도부 일임 부분에 대해 이춘석 대변인은 “여야 원내수석부대표가 예산안 및 법안 날치기 방지대책을 비롯해 임시국회 의제를 먼저 협상하고, 그 협상안을 지도부에서 검토한 뒤 등원 문제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의총에서는 “지난해 말 예산안 및 법안 날치기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나 유감 표명이 없으면 등원할 수 없다”는 강경론도 일부 제기됐다. 박지원 원내대표가 충분한 내부 조율 없이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와 섣불리 합의했다는 비판도 쏟아졌다. 이용섭 의원은 “박 원내대표를 당의 보배라고 생각해 왔지만 이번 합의는 조급했다”며 “예산안 날치기 후 달라진 게 없는 상황 아니냐. 영수회담도 마치 우리가 구걸하는 것처럼 돼버렸다”고 지적했다. 강봉균 의원도 “영수회담은 원내대표의 영역이 아니다”면서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다고 하지만, 이번 경우는 원숭이가 뛰어넘기 힘든 높은 나무를 넘으려고 한 것 아니냐”고 비꼬았다.

그러나 민생현안이 산적해 있고, 날치기 사과 같은 전제조건에 대해 국민들은 관심이 없다는 목소리들이 힘을 얻으면서 등원 쪽으로 무게중심이 쏠렸다. 특히 손 대표는 마무리 발언에서 “이제는 (국회에) 안 들어가는 것도 우습게 됐다. 이미 엎질러진 물”이라며 “국회에 들어가더라도 정통야당의 긍지를 버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박 원내대표와의 갈등설에 대해서도 “언론은 가십을 좋아한다. 부부나 친구 간에도 의견이 갈릴 수 있으니 연연해하지들 말라”고 당부했다.

이제 공은 한나라당 쪽으로 넘어간 셈이다. 예산안 및 법안 강행처리와 관련한 재발 방지 대책, 그리고 구제역 사태 국정조사 등 민주당이 요구하는 의제들을 어느 정도까지 수용하느냐가 관건이다.

김호경 엄기영 기자 hk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