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집값의 절반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은 2009년 2분기 이후 2년여간 전국 평균 17.7%, 서울은 20.2%나 상승했다. 광역자치단체 및 서울 자치구 가운데 서울 서초구와 대전시가 33.1%로 폭등했고, 부산(28.1%) 송파구(24.9%) 등이 뒤를 이었다.
본보가 2009년 4월부터 지난달 28일까지 국민은행이 매주 발표하는 전국 아파트 매매·전세 시세를 분석한 결과 전국 전셋값은 3.3㎡(평)당 355만원에서 418만원으로, 서울은 평당 598만원에서 719만원까지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평당 806만원에서 829만원으로, 서울은 1686만원에서 1716만원으로 각각 2.9%와 1.8%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전국 평균 전셋값은 매매가의 절반이 넘는 50.4%를 기록했다. 또 지난달 전국 평균 전셋값 상승률도 2002년(2.1%)에 이어 9년 만에 최고 수준인 0.9%로 조사됐다.
16개 광역시·도와 25개 서울 자치구 가운데 전셋값이 20% 이상 상승한 지역은 모두 13곳에 달했다.
반면 상승폭이 10% 미만인 지역은 경북(9.0%) 강원도(8.1%) 전남(3.8%) 등 3곳에 그쳤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1986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전국 전셋값이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일정 규모 이상의 전국 1만5000개 아파트 단지의 매매·전세가격을 매주 전수 조사해 담보 평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국 전셋값이 요동치자 지자체도 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전셋값 상승률 1위인 대전시는 지난해 10월 법무부에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을, 국토부에는 보금자리주택 임대 의무 비율 확대를 건의했다.
대전시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지난해 국토연구원이 적정선으로 제시한 1만2000가구를 웃도는 1만9704가구의 임대주택을 공급했지만 전셋값 상승을 막는 데는 역부족이었다”면서 “지자체 차원에서 전셋값을 잡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고 토로했다.
강준구 김아진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