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어디로 가나] 정부-야권, 권력이양 협상… ‘차기’ 논의 시작됐다
입력 2011-02-07 01:09
이집트 정부와 야권 간 ‘권력 이양’ 대화가 6일(현지시간) 본격 시작됐다. 사태 해결 방안으로 ‘점진적 권력 이양’에 무게가 실리는 상황이다.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은 경제장관회의를 주도하는 등 건재를 과시했다. 반면 지난 2주일간 벌어진 시위에서 적어도 300명이 사망했다고 유엔이 집계했다.
◇‘이집트의 미래’ 논의 착수=이집트 반정부 시위를 주도하고 있는 무슬림형제단을 포함한 야권은 이날 오전 오마르 술레이만 부통령의 제안으로 협상을 가졌다. 무바라크 대통령의 퇴진 절차, 공공장소에서의 집회 권리와 안전보장 등이 핵심 의제였다.
25명으로 구성된 야권 대표들과 술레이만 부통령은 이날 협상에서 개헌위원회를 구성키로 합의했다고 마그디 라디 정부 대변인이 밝혔다. 국영TV에 따르면 여야는 현재의 치안 상황을 고려해 약 30년 동안 지속해 온 비상사태법을 폐지키로 의견을 모았다.
양측은 또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이 오는 9월 대선에 출마하지 않도록 하고 언론에 대한 탄압도 중지하며 대선일까지 상황을 관리할 ‘국민위원회’를 설립한다는 합의도 도출했다. 라디 대변인은 개헌위원회에는 사법부 관계자와 상당수 정치인이 참여해 오는 3월 첫째 주까지 개헌안을 마련하고 필요한 법 개정안도 내놓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무바라크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시작된 이래 이집트 최대 정치단체이지만 불법화한 상태인 무슬림형제단이 정부와 공식 대화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무바라크 대통령의 퇴진 등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여야 모두 개헌위원회 설치와 헌법에 따른 ‘평화적인 권력 이양’에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풀이된다.
◇무바라크의 ‘건재’ 과시(?)=무바라크 대통령은 5일 카이로 시내 대통령궁에서 경제부처 장관 회의를 주재했다고 이집트 관영 뉴스통신 메나(MENA)가 전했다. 이집트에서 지난달 25일 반정부 시위가 시작된 이후 처음 열린 장관회의다.
게다가 무바라크 대통령은 집권 여당인 국민민주당(NDP) 당수직도 그대로 유지키로 했다. 지난 3일 임기 중 사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데 대한 공식 행동인 셈이다. 하지만 여론의 분위기를 감안해 NDP 지도부를 총사퇴시켰다. 무바라크 대통령의 아들이자 정책위원회 위원장인 가말 등 당 지도부 6명이 동반 사퇴했다. 대신 상원의원이자 중진 정치인 호삼 바드라위를 가말의 자리에 앉혔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