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회문제로 대두된 유아 사교육 실태
입력 2011-02-06 17:26
유아 사교육 실태에 관한 총체적 연구 결과가 어제 처음 공개됐다. 한국교육개발원은 지난해 유아(만 3세∼취학 전)가 있는 전국 2527가구를 조사해 ‘유아 사교육 실태 및 영향 분석’이란 보고서를 내놓았다. 유아의 99.8%가 사교육을 받고 있고, 사교육비로 월 평균 16만4000원이 들며, 사교육비를 포함한 유아 1인당 교육비는 월 평균 40만4000원이라는 게 골자다. 이번 연구는 유아교육 현황과 교육비 지출 및 사교육 이용 실태 등에 대해 총괄적 조사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다.
유아를 키우고 있는 가정들이 익히 체감하고 있는 것이지만 문제는 교육비 부담이 너무 크다는 점이다. 유치원과 보육시설 등 유아교육기관의 정규 프로그램 외에 거의 모든 가정이 사교육을 받고 있었다. 사교육 유형은 학원, 학습지, 방문과외나 유치원 등의 특별활동(영어 미술 음악 등)을 말한다. 초등학생(88.8%) 중학생(74.6%) 고등학생(55.0%) 가정의 사교육 참여율보다도 훨씬 높다. 조사대상 네 가구 중 세 가구가 유아 교육비에 부담을 느껴 생활비를 줄일 정도라고 한다.
조기 사교육이 만연하는 배경으로 일단 우리 부모들의 지나친 교육열을 들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뜨거운 교육열 자체를 나무랄 수는 없다. 하지만 부모들의 과도한 경쟁심리가 우리 아이들을 사교육 시장으로 내몰고 있다. 영어 학원비만 월 100만원이 넘는 곳도 부지기수다. 이런 상황이니 유아 사교육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지 않을 수 없다.
출생부터 대학 졸업 때까지 자녀 1명에게 들어가는 양육비가 평균 2억6000여만원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도 최근 나왔다. 과도한 교육비에 따른 악영향은 우리 사회에 부메랑처럼 돌아온다. 저출산 문제가 심화되는 핵심 이유가 바로 교육비다. 이번 조사에서도 부모 10명 중 4명은 유아 교육비 부담으로 추가 출산을 포기했다. 소득 수준에 따른 교육기회 불평등도 심각한 문제다. 이는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킨다. 정부는 서민층에 대한 유아 교육비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등 선진화된 교육 체제를 마련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