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이후 부동산 시장 향방… 3월 DTI 완화 연장 여부 최대 변수

입력 2011-02-06 20:53

설 연휴 이후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될까.

설 연휴는 전통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주요 분수령이 돼왔다. 부동산 거래에 큰 돈이 들다보니 가족들이 모인 자리에서 의논해서 결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시기적으로도 새 학기와 이사 시즌을 앞두고 있어 이주 수요도 많은 편이다.

업계에선 보금자리주택 본청약이 마무리되면서 분양시장이 어느 정도 활기를 찾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단기간 집값 상승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폭락 우려가 사라지면서 점진적인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전체 매매시장은 전세 시세의 상승폭에 따라 변화가 있을 것이란 분석이 많다. 전셋값이 계속 오르면 전세수요가 매매수요로 돌아서기 때문이다.

설 이후 부동산 시장의 가장 큰 변수는 3월말까지 적용되는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 조치 연장 여부다. 업계에선 DTI 완화 조치가 끝나면 시장에 심리적인 영향을 줘 매매시장 회복세를 꺾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지방 미분양주택을 구입해 5년내 되팔 경우 양도차익을 60∼100% 감면해주는 혜택도 4월 끝난다. 이 조치가 끝나면 일부 활기를 보이는 지방 분양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금리도 주요 변수다. 1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대비 4.1% 올랐고 이달에도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물가잡기에 나선 정부가 금리인상 카드를 꺼내들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금리가 오르면 대출로 집을 산 가계에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때문에 국토해양부는 완화 연장 여부를 놓고 고심 중이다.

전문가들은 현재 분위기에선 철저하게 실수요 위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전셋값 급등 부담을 안고 있는 실수요라면 내 집 마련을 적극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며 “하반기보다는 상반기, 또 상반기 중에서도 봄 이사철을 지난 2분기 후반부에 양호한 물량을 잡기 위한 경쟁이 덜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만능통장인 주택청약종합저축이 출시 2년이 되는 5월 1순위자가 나오기 시작하면 이후 청약경쟁이 심화될 수 있다. 하지만 대출 부담이 크다면 금리 인상을 고려해 무리한 매입은 당분간 보류하고 시장을 지켜보는 것이 안전하다.

업계에선 투자를 원한다면 서울 강남권, 한강변 노후단지, 왕십리 및 북아현 뉴타운 재개발 물량을 눈 여겨 볼 것을 권한다. 100% 투자 성격이라면 도심의 임대 수익형 상품도 좋다.

김도훈 기자 kinch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