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방송 좌담] 영수회담 관련 “한번 만나야겠다”… 孫대표도 “수용”

입력 2011-02-01 16:52


이명박 대통령이 1일 신년방송좌담회를 통해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의 연초 영수회담 의사를 밝혔다. 이 대통령이 먼저 제안한 것이 아니라 좌담회 패널인 정관용 교수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그러나 손 대표가 “이 대통령이 진정성을 갖고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겠다면 못할 이유가 없다”고 화답하면서 설 연휴 이후 영수회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대통령은 또 좌담회에서 ‘국회가 개헌 논의의 주체’라는 전제를 깔고 개헌 시기와 내용 등에 대한 소신을 상세하게 피력했다. 이 대통령이 이처럼 자세한 개헌관을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처음이다. 그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측과 야당의 개헌 논의 배경을 의심하는 시각에 대해서도 “아무리 생각해도 유·불리 요소가 전혀 없다”고 단언했다.

이 대통령은 논의 시기와 관련,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퇴임) 7개월 전에 개헌을 제안했다. 나는 지난해 8·15 경축사에서 제안했다. 굉장히 빨리한 것”이라며 말했다. 이 대통령은 “1987년 헌법을 개정했는데, 당시에는 독재정권에 대한 민주화 투쟁을 하다가 했다. 세월이 흘러 스마트 시대가 왔으니 거기에 맞는 개헌을 하자는 것”이라면서 기후변화, 남북문제 등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개헌과 더불어 지론인 선거구제 및 행정구역 개편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나라당 내 친이·친박 간 개헌 이견과 관련, “누구든지 국가를 위해 마음을 열고 하면 그런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선 ‘북한의 진정성 있는 변화’가 최우선 조건이라는 점을 재차 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한국의 인내→북의 대화 제의→대북 지원’이라는 과거 남북관계의 문제점을 거론하며 “쌀 가져와라, 비료 가져와라 해서 바쳤는데, 서해안에서 항상 충돌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다만 “북한도 이제는 다른 생각을 하지 않겠는가”라며 “(이후 대화에서 북한의) 진정성을 보려고 한다. 북한이 과거 방식에서 벗어나 남북이 공존하고 상생하자는 자세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 낙마 사태와 관련한 당·청 관계 악화에 대해서는 한나라당 책임론을 꺼내며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 이 대통령은 “정동기의 경우에는 사전에 (당·청 협의) 하지 못하고, 당이 그렇게 (일방적으로) 발표했기 때문에 혼선이 온 것이다. 당도 인정을 했다”며 “집권여당은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 남의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나라당이) 지난 10년 야당을 해 여당이 어떻게 해야 되는지를 착각했는지도 모른다”고도 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