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국 정상화 가닥잡는 영수회담 되길

입력 2011-02-01 16:36

이명박 대통령이 영수회담 개최 의사를 밝혔다. 어제 청와대에서 진행된 ‘대통령과의 대화’라는 신년 방송 좌담회를 통해서였다. 전국에 생중계된 좌담회에서 이 대통령은 “여야 영수회담 얘기가 나온다. 계획이 있는 것인가”라는 사회자 질문에 “연초 시작하니까 한번 만나야겠죠”라고 말했다. 사실상의 영수회담 제안이다. 민주당이 즉각 환영 입장을 밝혀 영수회담은 머지않아 성사될 전망이다.

지금 정국은 실타래처럼 꼬여 있다. 지난해 12월 8일 한나라당의 예산안 강행 처리 이후 여야는 대치국면을 이어오고 있다. 민주당은 대통령 사과와 박희태 국회의장 사퇴, ‘날치기’ 재발방지 약속을 등원 조건으로 내걸고 장외투쟁을 벌여왔다. 그러나 물가, 구제역 등 민생 현안을 외면한 채 국회를 계속 보이콧하는 것도 부담인 만큼 민주당으로선 퇴로가 필요한 시점이다. 엊그제 민주당이 정부 여당의 성의 있는 태도를 촉구한 것도 명분만 있으면 2월 임시국회 등원을 결정할 수 있다는 자세변화였다. 여기에 대통령이 대화 의지로 화답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야당의 사과 요구는 수용하지 않는 대신 훨씬 큰 틀의 영수회담을 제안했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도 “대통령이 진정성을 갖고 열린 자세로 대화를 나누겠다면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영수회담은 꼬인 정국을 풀 수 있는 자리다. 그럼에도 이 대통령은 2008년 9월 영수회담을 한 이후 28개월간 제1야당 대표를 만나지 않았다. 그래서 소통 부재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던 이 대통령이 모처럼 영수회담 제의를 통해 야당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였으니 다행이다.

사실 국가적 현안들은 야당 협조 없이는 순조롭게 해결할 수 없다. 개헌 문제도 그렇다. 이 대통령이 “지금 여야가 머리만 맞대고 하면 그렇게 어려울 것이 없다”고 했지만 개헌은 말처럼 쉬운 게 아니다. 개헌은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하기 때문에 여야 합의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국민적 공감대도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일단 불통의 정치에서 소통의 정치로 전환될 수 있는 영수회담을 열기로 한 것은 바람직하다. 국정 전반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해서 정국 정상화의 계기를 마련하는 회담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