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커진 4·27 재보선… 여야, 거물급으로 승부수?
입력 2011-01-31 21:01
4·27 재·보궐 선거 공천을 앞두고 여야 내부에서 각각 거물급 영입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선거 의미가 내년 총선 및 대선의 전초전 성격으로 격상된 이상, 당선 가능성이 높은 중량급 인사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한나라당 내부에서는 경기도 성남분당을 보궐선거에 정운찬 전 국무총리를 내세워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나돈다. 이미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와 박계동 전 국회 사무총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한 상태에서 정 전 총리 영입설이 나도는 것은 분당을 선거 결과가 미칠 파급 효과 때문이다.
여권 관계자는 31일 “텃밭으로 여겨지는 분당에서 한나라당이 패배하거나 고전한다면 여권 전체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며 “인지도가 높고, 중도층 표심까지 얻을 수 있는 정 전 총리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 전 총리의 한 측근은 “출마할 의사가 별로 없는 것 같다”며 “동반성장위원장직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여권이 정 전 총리에게 ‘격’에 맞는 예우를 갖춰 영입할 경우 출마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분당을 못지않게 한나라당이 신경 쓰는 곳은 경남 김해을이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가 “(민주당이 장악했던) 강원과 김해, 2곳 중 1곳만 건져도 다행”이라고 재·보선 승패 기준을 밝힐 정도다.
특히 야권은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인 김해을 승리로 내년 총선에서 야권의 영남 진출 교두보를 확보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 때문에 여당 내부에선 필승 카드로 김태호 전 경남지사를 내세워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하지만 김 전 지사 측은 “여전히 (출마에) 부정적인 생각이 강하다”고 밝히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전반적으로 ‘거물급 기근’에 허덕이는 상태다. 당 안팎에서 오르내리는 인물이 몇명 있기는 하지만 본인이 적극성을 보이는 경우는 현재로선 거의 없다. 선뜻 대항마로 나서겠다는 당 소속 대어급 인물이 없자 민주당에서는 외부 인사를 향한 ‘공개 구혼’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대표적 인사가 문재인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다.
천정배 최고위원은 영등포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 이명박 정권은 서갑원 의원과 이광재 강원지사의 정치생명을 끊어놓고 노무현 정신의 부활을 막기 위한 대못을 박았다고 자축하고 있다”며 “문재인 변호사처럼 상징성 있는 분들이 (김해 선거에) 직접 나서서 노무현 정신이 살아있음을 보여주길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문 전 실장 본인은 이미 여러 차례 출마 의사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문 전 실장 측근은 “본인이 정치를 안 한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 다만 조정자나 매개자 역할을 하겠다는 것일 뿐”이라며 “문 전 실장 출마 가능성은 제로”라고 잘라 말했다.
분당을에서는 이밖에도 민주당 내부에서 타천(他薦)으로 거론된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 신경민 전 MBC 앵커 외에 현대자동차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이계안 전 의원이 비교적 의욕을 갖고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호경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