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집트 최악의 상황은 막아야
입력 2011-01-30 19:15
호스니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의 30년 장기집권을 종식시키려는 반정부 시위를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23년간 독재정권을 유지해온 지네 엘 아비디네 벤 알리 대통령을 축출한 북아프리카 튀니지 발 ‘민주화 불길’이 아프리카와 중동으로 옮겨붙을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1인 독재자가 20∼40년간 장기집권을 하고 있는 예멘 리비아 짐바브웨 카메룬 앙골라 수단 가봉(부자 세습 포함) 등은 튀니지와 이집트의 반정부 시위가 자국에 영향을 미칠까봐 전전긍긍하고 있다.
29일(현지시간) 현재 이집트 반정부 시위로 사망자와 부상자들이 속출하고 있다고 외신들은 보도했다. 사정이 악화되고 있는데도 무바라크 대통령은 강경 대응으로 기울고 있다. 시위대 무력진압, 통신 차단, 강력한 경쟁자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의 가택 연금 등으로는 난국을 풀 수가 없다. 또 무바라크 대통령이 군 출신의 최측근 인사들을 부통령과 총리에 임명한 것도 성난 시위대의 요구와는 동떨어진 조치다. 새 내각에서도 자신의 주도권을 공고히 하고, 향후 시위 사태에 대응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무바라크 대통령은 절대 권력은 반드시 부패한다는 점을 명심하고, 주요 나라 정상들의 조언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정상들은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포함한 개혁 절차를 조속히 진행하라고 촉구했다. 또 폭력에 반대하며, 표현·집회의 자유 등 보편적 권리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집트 국민은 슬기롭게 정치개혁의 호기를 살려야 한다. 이집트 시위의 해결 방향이 중동과 아프리카의 정치지형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국제사회는 이집트 시위가 참담한 유혈사태로 비화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기 바란다. 또 극심한 정정 불안을 이용해 과격한 이슬람 무장 세력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경계의 끈을 늦춰서도 안 된다. 우리 정부는 현지 교민들과 한국기업의 안전을 위해 만전을 기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