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할린 3만명 강제동원 억류당해 34% 미귀환

입력 2011-01-27 18:39

해방 당시 사할린에 강제 징용된 조선인 노무자가 3만여명에 달한다는 사실이 정부조사에서 처음 확인됐다.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27일 ‘사할린 강제동원 조선인들의 실태 및 귀환 진상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1945년 사할린에 거주한 조선인은 4만3000여명으로 추정된다. 지원위는 이 중 70%인 3만여명이 징용이나 현지동원 형태로 강제 노동에 동원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조선인 노무자는 탄광(65.2%)이나 토목건축(33.6%) 작업장에 투입됐다. 지원위는 남사할린 지역 56개 탄광 중 35개 작업장에서 조선인 노무자가 강제 동원된 증거를 찾았다. 이들 탄광은 대부분 미쓰비시, 미쓰이, 오지제지 계열 등이 운영했다. 지원위는 사할린 지역의 제지공장 8곳과 비행장 10곳에서 조선인이 강제 동원된 사실도 밝혀냈다.

지원위는 지난해까지 접수된 사할린 강제동원 피해 사례 3536건을 분석한 결과 34.3%가 해방 이후에도 조선으로 귀환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지원위 관계자는 “노무자들이 구 소련정부에 억류됐기 때문”이라며 “사할린 내 강제동원 지역의 묘지를 조사해 현지에서 사망한 이들의 유해를 봉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원위는 아소 다로 전 총리 가문이 운영했던 아소광업이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했던 조선인 1만1000여명 중 237명의 명단을 확인했다. 또 일본군과 기업이 1939년부터 6년간 중국 하이커우, 싼야, 단저우 등 하이난성에 위안소를 설치하고 조선인 여성 210명을 강제 동원한 사실도 확인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