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연차 게이트 확정 판결] “올림픽유치 수장없이 어쩌나…” 강원도 비상
입력 2011-01-27 18:22
‘선장 없는 힘겨운 항해가 재개됐다.’
대법원의 확정 판결로 이광재 강원도지사가 27일 지사직을 상실하면서 강원도에 다시 비상이 걸렸다.
당장 다음달 14일부터 20일까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2018동계올림픽 후보지 실사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동계올림픽은 국가가 아닌 개최도시 중심으로 치러져 개최도시 대표의 역할이 막중하다. 하지만 권한대행 체제로는 유치 활동 동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 원주∼강릉 간 복선전철 조기 착공,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 대형 국책사업과 알펜시아 유동성 위기 극복, 무상급식 실시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도정 현안들이 모두 제자리걸음할 가능성도 크다. 보궐선거에서 신임 지사가 선출되면 이들 정책이 수정 또는 폐기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강원도청 공무원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한 고위 간부는 “최고 결정권자가 없는 상황에서 산적한 현안들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고민”이라며 “당분간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
야권연대를 통한 지방 공동정부 실험도 무산됐다. 이 지사는 공동정부 구성을 위해 민주노동당 강원도당 엄재철 전 위원장을 복지특보로 기용했다. 도민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한쪽에서는 도민들의 선택으로 당선된 지사가 직을 상실했다는 점을 안타까워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재판 결과를 겸허히 수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지난해 7월부터 2개월간 직무대행을 맡은데 이어 4월 27일 보궐선거까지 다시 도정을 책임지게 된 강기창 행정부지사는 “권한대행 체제를 다시 맡은데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직무를 성실히 수행해 도정 공백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강 부지사에게 전화를 걸어 “평창 동계올림픽은 반드시 유치해야 한다”면서 IOC 현지실사 준비 등 유치 활동에 총력을 다해줄 것을 당부하고,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과 노력을 약속했다.
춘천=정동원 기자 cd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