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선물 ‘안 주고 안 받기’ 확산… 기업·지자체 검소한 명절보내기
입력 2011-01-25 18:27
설을 앞두고 각 행정기관은 물론 기업체 등에서 ‘선물 및 떡값 안 주고 안 받기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25일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서울 구로구는 설을 앞두고 단돈 1만원 짜리 선물도 주고 받지 말 것을 지시했다. 이성 구청장은 최근 전 직원들에게 “감사의 표현은 ‘물건’이 아니라 ‘따뜻한 마음’입니다”라는 제목의 편지를 보내고 공직자들이 검소한 명절을 보내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숙인 구 감사팀장은 “직무와 관련해서는 어떤 식으로든 금품이나 선물 수수도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선물을 일절 주고 받지 말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건설장비 구입비 횡령사건으로 홍역을 치른 충북 청원군은 공무원노조와 공동으로 ‘설 선물 안주고 안받기 운동’을 펼치고 있다. 군은 비록 대가성이 없는 선물이라도 노조에 반납해 시설 등에 전달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광주시교육청 장휘국 교육감도 최근 각급 학교에 ‘청렴 서한문’을 발송했다. 지난해 취임 당시 교육계 비리 근절을 공약으로 내걸긴 했지만 설을 앞둔 시점에 명절 떡값 수수 관행을 뿌리 뽑겠다는 의지다.
전남지방경찰청도 최근 실시된 청문감사관 화상회의를 통해 ‘설 선물 안 주고 안 받기 운동 자정 캠페인’을 전개하도록 각 경찰서에 지시했다. 캠페인 내용은 택배 물품에 대해 배송 거부 의사를 표시하고 불가피하게 수취한 물품은 ‘포돌이 양심방’에 신고하라는 것이다.
전남 영광군의 경우 공무원노동조합에서 노조 홈페이지에 ‘설 금품 선물 수수 신고방’을 마련하는가 하면 군청 건물에 플래카드를 내걸었고 27일에는 직원들에게 명절 선물 안 주고 안 받기 홍보물을 배포할 예정이다. 완도군 역시 ‘설 선물 안주고 안 받기 운동’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청렴의무 위반자 신고센터’까지 운영, 공무원들의 부조리를 신고하는 주민들에게는 포상금도 지급할 계획이다.
기업 중에는 9년째 선물반송센터를 운영 중인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눈에 띈다. 광양제철소는 19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문서수발실에 선물반송센터를 운영해 접수된 선물을 즉각 반송 처리하고 반송할 수 없는 물품은 사외에 기증하거나 사내 경매를 통해 사회 공헌기금에 맡기고 있다.
광양제철소 관계자는 “이해관계자와 선물을 주고받는 것이 자칫 미풍양속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을 경계하고자 이런 제도를 도입했고 이제는 어느 정도 정착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5년 전부터 명절 선물 안 주고 안 받기를 하는 KT광주마케팅단도 이번 설을 맞아 자진 접수센터 운영에 들어갔다.
기아자동차 광주공장도 각 부서 협조문을 통해 직원, 하도급업체로부터 선물 안 주고 안 받기 캠페인에 들어가는 등 ‘선물 안주고 안받기 운동’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전국종합=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