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 고공행진… 서민들 밤잠 설친다
입력 2011-01-24 21:02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가계빚이 치솟고 있는 가운데 은행들의 대출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져 경제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국내 은행들의 가계대출 잔액이 전년도보다 21조9000억원(5.4%) 증가한 427조6000억원에 달한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 증가폭은 전년도 증가액(20조8000억원)보다 1조1000억원이 늘어난 수치다. 특히 규제를 한시적으로 완화했던 ‘8·29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인 4분기에 전체 증가액의 40%가 넘는 금액(8조900억원)이 집중됐다. 지난해 국내 은행의 전체 원화대출금 잔액이 전년도보다 3.4% 증가에 그친 데 비하면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우려할 만한 상황에 이른 것이다.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는 지난 13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최고 연 6%가 무너지는 등 일제히 치솟고 있다. 국민은행은 24일부터 양도성 예금증서(CD) 연동 주택대출 금리를 연 4.75∼6.05%로 지난주보다 0.02% 포인트를, 신한은행도 25일부터 연 4.60∼6.00%로 0.01% 포인트를 상향 조정한다. 우리은행 역시 25일부터 연 4.40∼5.72%로 0.01% 포인트 인상하며 하나은행은 이미 지난주 연 4.88∼6.38%까지 대출금리를 인상했다. 1년간 변동금리 적용 후 고정금리로 전환되는 주택금융공사의 ‘u-보금자리론’ 설계형 주택대출도 지난 21일 연 4.05∼4.25%로 0.02% 포인트 인상됐다.
은행들은 지난주에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연동 주택대출 금리도 0.23% 포인트 인상해 6개월 변동형 사품의 경우 우리은행은 연 3.83∼5.25%로, 국민은행은 연 4.21∼5.61%로 각각 올랐다.
가계부채 증가 우려에 대해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24일 기자들과 만나 “가계부채 문제는 큰 틀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면서 “자산 총유동성 등의 관리, 일자리 문제, 금융기관의 건전성, 서민금융 시스템 보완 등 네 가지 요소를 잘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8·29대책 중 하나인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시한(3월)의 연장에 대해서는 “그런 작은 질문은 하지 말라”고 즉답을 회피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