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호주얼리호 구출 이후] 아덴만 기세 몰아… 軍, 군사회담서 천안함·연평도 北사과 강력요구

입력 2011-01-24 21:24

국방부 관계자는 “북측에 고위급 군사회담을 위한 예비회담 개최를 26일 혹은 27일 제안할 계획”이라면서 “예비회담은 설을 지내고 다음 달 중순쯤 판문점에서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24일 밝혔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지난해 9월 30일 판문점에서 개최된 이후 4개월여 만에 남북 군사실무회담이 개최되는 셈이다. 지난해에는 남북이 의제를 합의하지 못해 고위급 군사회담에 이르지 못했지만 이번에는 북측이 처음부터 천안함 및 연평도 사건을 의제로 다루자고 제안한 만큼 고위급 회담의 성사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이번 예비회담의 대표는 대령급 실무자로 남측은 문상균 국방부 북한정책과장, 북측은 국방위 정책국의 이선권 대좌가 맡을 것으로 관측된다.

국방부는 북측에 천안함·연평도 사태의 책임을 시인하고 사과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할 전망이다. 남북 군사회담이 자칫 북한이 원하는 북·미 회담으로 가는 길만 터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또한 우리 군이 천안함과 연평도 사태로 깎인 체면을 ‘아덴만 여명작전’의 성공으로 어느 정도 만회한 만큼 자신감을 가지고 북측과 담판에 나설 수 있게 됐다는 일각의 지적도 있다.

정부는 또 북한의 비핵화 진정성을 논의할 회담 준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고위급 회담에 앞서 실무급 예비회담을 여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예비회담을 거치면 입장차가 줄어들어 본회담에서 성과를 거둘 가능성이 높아지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동안 천안함·연평도 도발에 책임 있는 조치와 추가 도발방지 확약, 비핵화 진정성 확인 등을 남북대화의 전제조건으로 내걸고 있었다. 천안함·연평도 사태는 군사회담에서 다루는 만큼 비핵화 의지와 관련해 별도 회담에서 논의하자고 제의할 방침을 세운 바 있다.

한편 외교통상부와 통일부가 남북 비핵화 회담의 수석대표 자리를 놓고 기싸움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북핵문제인 만큼 외교부 한반도 평화교섭본부가 주축이 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통일부는 남북대화는 6자회담이 아니라고 맞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