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N스크린 서비스 ‘호핀’ 시작… 이통사들 ‘불꽃전쟁’ 예고
입력 2011-01-24 21:00
기기 간 장벽을 뛰어넘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N스크린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멀티 디바이스 시대에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하다.
SK텔레콤은 24일 간담회를 열고 스마트폰, PC, TV 등 다양한 기기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는 N스크린 서비스 ‘호핀(hoppin)’을 25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포털사이트 네이트 안에 호핀 전용 사이트를 오픈하고, 이 서비스가 탑재된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갤럭시S 호핀’도 출시한다. N스크린의 N은 ‘numerous(복수의)’에서 딴 것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연이어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호핀 서비스는 갤럭시S 호핀을 기반으로 한다. 호핀 사이트에서 로그인하면 최신 영화, 드라마, 뮤직비디오 등 3500여편의 유·무료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에서 호핀 사이트에 접속해 영화를 내려받아 감상하다가 중단한 뒤 갤럭시S 호핀에서 로그인하면 같은 영화를 끊어진 부분부터 이어서 볼 수 있다. 또 갤럭시S 호핀에 TV 셋톱박스 기능이 탑재돼 있어 별도 장치 없이 케이블로 연결해 스마트폰에서 보던 콘텐츠를 TV에서 감상할 수 있다. 단 사이트에 올라와 있는 콘텐츠 외에 개인이 직접 제작한 동영상 등은 기기 간 공유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SK텔레콤은 올해 말까지 콘텐츠를 1만개로 늘려 호핀을 디바이스와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전용 플랫폼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또 다양한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서도 호핀을 이용할 수 있도록 1분기 중 애플리케이션을 T스토어 및 안드로이드마켓에서 제공할 방침이다.
최근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IT 기기가 많아지면서 언제 어디서나 콘텐츠를 이용하길 원하는 사람도 늘고 있다. 업체 입장에선 N스크린 서비스를 통해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콘텐츠 이용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이 분야를 올해 핵심 경쟁 부문으로 꼽고 초기 시장 선점에 적극 나서는 모양새다.
애플은 아이튠즈와 앱스토어를 통해 애플이 판매하는 모든 기기 간 콘텐츠 동기화 및 끈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기기 간 직접 네트워킹(P2P) 기반의 N스크린 서비스를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2011 CES’에서 선보이기도 했다.
KT는 지난해 6월부터 개인의 PC에 있는 사진, 음악, 동영상, 문서파일 등을 자동으로 동기화해 저장해주고 이를 다양한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는 ‘유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클라우드 앱을 실행하면 스마트폰에서 내 PC에 있는 콘텐츠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다. 지난달 31일 기준 누적가입자수는 40만명을 넘어섰다. LG유플러스도 지난해 ‘유플러스 박스’를 출시,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설원희 SK텔레콤 오픈 플랫폼 부문장은 “개인의 선호도와 이용 상황에 맞는 콘텐츠 및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최적의 단말기와 안정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것이 N스크린의 목표”라고 말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