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 충청-호남 갈등 속 광주시-민주당 ‘적전분열’
입력 2011-01-24 18:06
광주시와 민주당 집행부가 3조5000억원이 투자될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를 놓고 갈등을 겪고 있다.
그동안 한솥밥을 먹어온 양측이 과학벨트 입지에 대해 한 치 양보 없이 맞서는 것은 이례적이다.
강운태 광주시장은 24일 확대 간부회의에서 “국가 백년대계를 바라볼 때 국책사업인 과학비즈니스벨트가 광주에 둥지를 트는 것은 자연스럽고 당연하다”며 “광주 유치가 성사되면 호남 푸대접이나 지역차별이라는 정치적 시각도 말끔히 씻겨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 시장은 “과학벨트는 최근 지정된 연구·개발(R&D)특구와 어우러져 기초과학, 응용기술, 산업화 등 3박자의 두드러진 상승효과를 낼 것”이라고 전제한 뒤 “도심에 첨단 산단이 조성된 광주는 한 번도 지진발생이 없었던 안전지대로 많은 과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할 때 축구장 3∼4배 넓이의 땅이 필요한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등 과학시설의 최적지”라고 덧붙였다.
이는 민주당이 21일 광주시와 가진 당정협의회에서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 당론을 강조한 데 대해 ‘정면 거부’를 선언한 것이다.
시는 이에 따라 이번 주에 과학벨트 유치를 위한 설명회를 열고 R&D 특구와 광주과기원의 첨단기술 보유 현황 등 광주 고유의 장점을 널리 홍보할 방침이다.
또 설 연휴 이후 청와대와 정부 부처를 상대로 유치전을 본격화하는 등 독자적 유치활동에 나서기로 했다.
김영진(광주 서구을) 의원을 중심으로 한 광주지역 국회의원들도 민주당 당론과 달리 과학벨트의 광주유치를 겨냥한 ‘국제비즈니스벨트 육성 특별법안’을 공동 발의할 계획이다.
여기에다 전북권 의원들도 유치전에 뛰어들 태세고 충청권 의원들은 23일 대전에서 과학벨트 충청권 사수와 대통령 공약 이행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갖는 등 민주당 내부갈등도 확산되고 있다.
앞서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당정협의회에서 “민주당 주인인 광주가 대국적 견지에서 충청권을 감싸 안아야 정권교체가 가능하다”며 “돌팔매를 맞더라도 역사적 사명감을 갖고 충청권 유치를 추진하겠다”고 ‘호남양보론’을 거듭 주장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