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舊세력 완전 청산하라”… 튀니지 재스민 혁명 격화

입력 2011-01-23 22:36

튀니지에서 시민들의 시위가 다시 격화되고 있다. 시민들은 23년간 지속됐던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데 이어 완전한 과거청산을 요구하고 있다. 예멘 등 아랍권에도 ‘튀니지식 봉기’ 움직임은 확산되는 양상이다.

수그러들지 않는 혁명 분위기=튀니지 총노동연맹(UGTT)이 주도하는 시위대 2000여명은 모하메드 간누치 총리 퇴진과 집권 여당인 입헌민주연합(RCD) 인사들의 입각에 거세게 항의해 과도 정부가 출범부터 위기를 맞고 있다고 AFP통신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3일엔 지방에서 1000여명이 튀니스로 상경해 시위대에 가세했다. 지방 정부는 ‘재스민 혁명’(튀니지 국화 재스민에 붙인 시위의 별칭)의 전국 확산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AFP가 전했다.



특히 경찰 군인 등이 시위대를 ‘자유의 대상(caravan of liberty)’이라 부르며 시위에 합세했다. 소방차를 몰고 온 소방관까지 시위에 동참하면서 과도정부의 위기감은 더 커졌다고 알자지라 방송이 전했다.



간누치 총리는 대선과 총선이 끝나면 정계를 떠나겠다고 서둘러 발표했다. 과도정부는 6개월 안에 선거를 치르겠다고 공표했지만 구체적 일정은 잡히지 않은 상태다.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UNHCHR)은 튀니지 시민혁명으로 지금까지 117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과도정부는 시위대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독립 조사위원회를 신속히 구성하고, 보안군이 무리한 진압을 했는지 조사하기로 했다.



이 같은 혼란 속에 지네 알 아비디네 벤 알리 전 대통령 시절 불법화된 이슬람 운동단체 ‘엔나흐다’가 정계 복귀를 선언했다. AP통신은 튀니지에서 이슬람주의자들이 정치 참여 기회를 엿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거리 시위에 이슬람 교도들이 참여해 이슬람 과격주의가 튀니지에 뿌리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당 대변인인 하마디 제발리는 “우린 탈레반이나 알카에다가 아니다”고 이런 우려를 일축했다.



아랍권 ‘튀니지식 봉기’ 연쇄 반응=일부 아랍권 국가에 튀니지식 봉기가 이어지고 있다. 알제리 수도 알제에선 집회·시위금지법의 철폐를 촉구하는 행진을 경찰이 강경 진압해 수십명이 다쳤다. 예멘에선 튀니지식 봉기를 주장하는 2500여명의 학생과 재야단체 회원 등이 32년간 집권해 온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을 벤 알리 전 튀니지 대통령에 비교하며 하야를 촉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집트 야권의 지지를 받는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도 이집트가 튀니지식 시민혁명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