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백신도 힘못쓰나…평택 고성 이어 상주서 발생

입력 2011-01-23 22:08

소강상태를 보이던 구제역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구제역 청정지역으로 남아 있던 경남에서 첫 의심신고가 접수됐다. 전국적인 예방백신 접종이라는 초강수가 먹혀들지 않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온다. 조류 인플루엔자(AI)는 경기도 양주에서 양성으로 확진된 데다 파주에서 의심신고가 들어와 국내 최대 닭 사육 규모를 자랑하는 포천시에 비상이 걸렸다.

경남도는 23일 김해시 돼지농가에서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그동안 경남은 전남, 전북과 함께 구제역 청정지역으로 남아 있었다.

지난 21일 의심신고가 들어왔던 경북 상주 한우농가는 구제역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웃 지역에서 구제역이 유행하는 동안 상주에서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었다. 상주 외에 경기도 평택 염소농가, 충남 아산 한우농가, 충남 천안 돼지농가, 강원도 고성 한우농가에서도 22일 잇따라 구제역 발생이 확인됐다.

국내 3대 축산·한우 전진기지로 꼽히는 강원 횡성, 경북 상주, 충남 홍성 가운데 2곳에서 구제역이 터지면서 국내 축산업 기반이 송두리째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23일 현재 살처분 대상 가축 수는 248만8164마리다. 돼지는 233만9784마리로 지난해 12월 1일 기준으로 국내에서 사육하는 돼지 988만632마리 가운데 23.7%를 땅에 묻었다. 한우는 10만9963마리로 전체 사육 수(276만1576마리)의 4.0%를 살처분했다.

경찰청은 설 특수를 노리고 구제역에 걸린 소·돼지를 반출하거나 판매하는 행위를 집중 단속할 방침이다. 반출하면 1년 이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의 벌금, 판매 시엔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7년 이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