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런 수능 개편안 무슨 의미 있나

입력 2011-01-23 16:59

오는 2014년도부터 치러지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편안이 잠정 확정돼 26일 공식 발표된다.

지난해 8월 대입선진화연구회가 발표한 개편시안이 국·영·수 편중현상을 심화시키고 학문의 다양성을 훼손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컸던 데 비하면 이번 잠정안은 그동안 여론 수렴을 통해 어느 정도 절충점을 찾은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국·영·수 편중에 대한 우려는 여전한데다 수능시험을 2회로 늘리기로 한 방침도 철회되는 등 개편의 의미가 별로 없다는 지적이 많다.

잠정안은 현재의 탐구영역 과목을 그대로 두되 최대 2과목을 선택하도록 했다. 현재 최대 4과목을 선택하도록 돼 있는 것에 비해 일단 학생들의 부담은 줄어들 전망이다. 공통 기본과목인 국·영·수를 난이도에 따라 A형과 B형으로 나눠 수준별 시험을 보게 하는 방안도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영·수 위주의 교육체계는 전혀 달라질 게 없다. 탐구영역 과목을 통폐합해 1과목만 선택하는 것보다는 낫지만 국·영·수 편중은 지금보다 오히려 심화될 게 뻔하다. 각계각층에서 국사를 필수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음에도 반영되지 않았다. 역사를 비롯해 문학, 철학, 예술 등은 여전히 국·영·수의 하위 개념이다. 사회에 나와서 미적분을 써먹는 사람이 몇이나 되는지, 역사나 철학 지식보다 유용한지 의문이다. 사교육비 절감 효과도 거의 없어 보인다.

수능시험을 15일 간격으로 2회 실시하려던 복수시행 방안을 미루기로 한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 교과부는 기술적 검토가 더 필요한데다 학생들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점을 연기 이유로 들었다. 물론 1차와 2차 시험의 난이도 편차가 문제될 수 있고 보름짜리 족집게 과외가 성행하는 등 부작용도 나타날 것이다.

하지만 이는 예상했던 문제점이다. 일생을 좌우하는 시험을 단 한 차례 치르는 것이 가혹하다는 당초 취지가 유효하다면 조속히 시행할 필요가 있다. 컨디션 난조로 시험을 망친 학생들의 재수를 줄이는 효과도 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