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과학비즈니스벨트… 다시 시선 쏠리는 박근혜의 입
입력 2011-01-20 21:27
개헌과 과학비즈니스벨트 등 굵직한 이슈가 불거지면서 정치권의 시선이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입으로 쏠리고 있다. 새해 벽두부터 이 문제로 여의도가 후끈 달아올랐지만 여권의 유력 대권주자인 박 전 대표는 어떤 언급도 없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의 비서실장격인 이학재 의원은 20일 “개헌에 일절 다른 말씀이 없으셨다”며 “개헌은 국민적인 공감이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재오 특임장관을 필두로 친이명박계가 강하게 개헌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박 전 대표 생각은 달라진 게 없다는 것이다. 박 전 대표는 1998년 정계 입문 직후부터 지금까지 ‘4년 대통령 중임제 선호, 국민 공감대 속 개헌 논의’라는 입장을 누누이 밝혀왔다. 평소 의원총회에 참석하지 않았던 점으로 미뤄 박 전 대표가 25일 열릴 예정인 한나라당 개헌 의총에 참석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전망이다.
박 전 대표는 제2의 세종시를 연상시키고 있는 과학벨트에 대해서도 계속 침묵할 것으로 전해졌다. 핵심 측근은 “지난해 세종시 문제는 입법과 관련된 사안이었지만 과학벨트 입지 선정 문제는 전적으로 정부에서 해야 할 일”이라며 “결정권도 없는 박 전 대표가 정치권 논란에 휘말릴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과학벨트가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고, 각 지역의 이해관계가 얽힌 이슈라는 점 역시 박 전 대표로서는 의식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박 전 대표는 이날 당내 이공계 출신 의원 6명과 오찬을 하면서 “필요한 때에 필요한 사람, 필요한 곳에 작동하는 맞춤형 복지가 필요하다. 이는 보편적 복지냐 선택적 복지냐를 뛰어넘는 시스템”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발언으로, 정치권의 복지 논쟁에 굳이 휘말리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오찬에는 친박계 서상기 의원과 배은희, 한기호 등 친이계 의원 5명이 참석했다. 그런 만큼 계파 간 입장이 민감한 개헌과 과학벨트 이슈는 화제에 오르지 않았다고 서 의원이 전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