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人터뷰-광역단체장에게 듣는다] 김두관 경남도 지사

입력 2011-01-20 18:19


“설 연휴가 구제역 차단 고비 낙동강 문제는 원만히 해결”

“설 연휴가 고비입니다. 귀성객에 의한 구제역 차단 방역을 확실히 해 청정 경남을 지키겠습니다.”

김두관 경남지사는 20일 때가 때인 만큼 “구제역 대책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는 말부터 꺼냈다. 전 공무원과 축산농민, 도민 모두가 총력을 기울여 방역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김 지사는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한 낙동강 사업 문제도 원만히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가하천의 유지보수는 시·도지사가 시행하도록 하천법에 규정돼 있다는 측면에서 사업권 회수가 무효라는 확인을 받기 위해 심판을 청구하게 됐다”면서 “낙동강 특위 활동도 6개월 연장해 공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올해 도정목표를 ‘대한민국 번영 1번지 경남’으로 제시했다. 지난해 말 대규모 인사와 조직개편을 통해 민선5기 경남도정 운영을 위한 조직과 인력을 새롭게 정비한 만큼 의욕도 넘쳐 보였다.

올해 국비예산도 무소속 도지사라는 주변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인 3조808억원을 확보하는 뚝심을 보여줬다.

김 지사의 새해 도정은 복지 쪽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는 “올해 전체 예산의 26.6%인 1조5539억원을 복지에 투자한다”면서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라고 보고 취약계층과 장애인을 위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현재 20개인 사회적 기업을 2012년까지 60개로 늘려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또 “경남의 미래를 책임질 우리 아이들을 위해 친환경 무상급식도 확대해 학생, 학부모, 농민 모두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면서 “어르신 틀니보급사업도 본격적으로 추진해 40억원의 예산으로 틀니가 필요한 어르신 2000여명에게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보호자의 간병 부담을 덜어주고 지속가능한 사회적 일자리를 만들어 내도록 ‘보호자 없는 병원 사업’을 경남형 복지 브랜드로 키워가는 것에도 도정의 주안점을 둘 것”이라고 김 지사는 덧붙였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의 경남 이전, 동남권 신공항 밀양 유치, 남강댐 물 부산 공급 문제 등 주요 현안에 대해서는 “지역 국회의원, 도의원과 함께 적극 대처하겠다”는 것이 김 지사의 입장이다. 그는 “낙동강변에 대규모 습지를 조성해 경남 부산 울산지역에 식수를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재생 에너지사업을 적극 육성하겠다는 의지도 표명했다. 지난해 경남도는 세계 5대 태양광 발전시설 업체인 미국 MEMC사와 함께 2013년까지 1조6000억원을 투입해 태양광 발전단지를 조성키로 한 바 있다.

김 지사는 “올해부터 2015년까지 200억원을 들여 태양광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2014년까지 445억원을 투자해 기계산업을 활용한 풍력 부품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경남도는 올해부터 시·군의 균형 발전을 위해 18개 시·군의 특성과 장점을 살린 ‘경남 모자이크 프로젝트’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 18개 시·군이 추진하는 1개 이상 대표 사업에 대해 올해부터 도비 200억원을 지원한다. 특히 고려대장경이 간행된 지 1000년이 되는 올해를 기념하기 위해 합천군과 공동으로 9월 23일부터 11월 6일까지 ‘2011 대장경 천년 세계문화축전’을 개최한다. 김 지사는 “이번 축전이 대장경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 그리고 한국의 기록문화, 정신문화를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