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수급 비상] 백화점·대형마트 온도 20도 이하로
입력 2011-01-18 22:10
실내온도를 제한하고, 지하철 운행 간격도 늘리고, 아파트관리비 고지서 디자인도 바꾸는 등 정부가 전력부족 사태를 막기 위한 방안들을 내놓았다. 하지만 정부의 방안이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백화점 등 에너지 다소비 건물의 난방온도를 제한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2011년 에너지 수요전망 및 대책’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24일부터 다음 달 18일까지 2000TOE(석유환산톤) 이상 에너지 다소비 건물 441곳의 실내온도가 20도 이하로 제한된다. 441개 건물엔 백화점과 대형마트 174곳, 업무시설 113곳과 숙박시설 54곳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실태점검을 하고 이를 지키지 않는 건물에 3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이다.
또 오전 11시부터 정오까지 몰리는 전력피크 분산을 위해 오전 10시부터 수도권 전철의 운행간격을 지금보다 1∼3분 정도 늘리기로 했다. 또 전국을 6개 지역으로 나눈 뒤 2000TOE 이상 대형 사업장의 개별 난방기를 오전 11시부터 10분씩 순차적으로 끄기로 했다. 공공기관의 난방기 사용은 오전 오후 1시간씩 하루 두 차례 중단된다.
전력 소비 증가의 주범으로 꼽히는 전열기의 무분별한 사용을 막는 방안도 나왔다. 공정거래위원회와 방송통신위원회가 전열기 과대광고 현황 조사에 나서고 전열기에 예상전기요금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는 에너지가격표시제를 도입한다.
자발적인 에너지 절약을 장려하기 위해 아파트 관리비 고지서 디자인도 변경한다. 새로운 고지서엔 이웃 가구의 평균 사용량과 전년도 같은 달의 사용량을 같이 표시해 각 가정이 얼마나 에너지를 더 쓰는지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 에너지 절약을 잘 실천했다면 그린카드가 표시되고 낭비했다면 레드카드가 고지서에 찍혀 나온다. 지식경제부는 이달부터 아파트 600가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효과가 나타나면 2분기부터 서울시 전역으로 보급을 늘릴 방침이다. 지경부는 고지서 변경만으로도 5∼10% 정도 자발적인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도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