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호주얼리호 피랍 안팎] 청해부대 최영함 급파
입력 2011-01-16 19:03
삼호주얼리호 피랍에 정부는 우선 군사적 대응 카드를 빼들었다. 소말리아 해적 퇴치를 위해 파견된 청해부대 소속 최영함을 기동시킨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6일 “청해부대가 이동해 어떤 식으로든 문제 해결에 개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인 8명을 포함, 21명이 인질로 잡혀 있는 상황이어서 구출작전은 쉽지 않아 보인다.
결국 중요한 것은 소말리아 해적과의 협상이지만 전례에 비춰 장기화될 공산이 크다. 지난해 4월 인도양에서 납치된 원유 운반선 삼호드림호 선원 24명은 피랍 217일 만인 11월 7일 석방됐다. 지난해 10월 9일 케냐 앞 해상에서 납치된 금미305호(한국인 2명 승선) 사건도 미해결 상태다. 외교부 관계자는 “정부는 해적과 협상에 직접 나서지 않고 석방금을 지급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반드시 지켜나가겠다”며 “해적의 심리전에 말리지 않고 단호히 대처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 사건과 별도로 지난해부터 준비해 온 해적 피랍 자구책 강화를 위한 (위험지역 항해선박) 액션플랜을 곧 확정지을 방침이다. 정부는 소말리아 인근이나 인도양을 오가는 국내 해운사 소속 선박에 보안요원 탑승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또 선박에 강철 등으로 밀폐된 공간을 만들어 해적들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선원피난처를 설치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한편 삼호드림호에 이어 또다시 해적들에게 납치된 삼호주얼리호의 선사인 삼호해운 사무실은 16일 출입문이 굳게 닫힌 채 사태의 정황을 파악하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삼호해운 측은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한 채 피랍 선원 가족들과 대책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 지역 A해운회사 대표는 “해운사가 피랍 사건을 한번 당하기도 쉽지 않은데 선박 2척이 잇따라 해적에게 피랍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라며 “해적이 국내 해운회사 소속 선박들을 노린 것 같아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성규, 부산 =윤봉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