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3트랙’으로 저축은행 살린다
입력 2011-01-16 22:20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부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트랙’ 구제절차에 나선다. 예금보험공사가 공적자금을 투입해 직접 메스를 가하는 한편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도 부동산파이낸싱(PF) 부실 자산을 정상화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와 함께 금융지주사도 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BIS비율)이 5% 미만인 부실 업체를 중심으로 ‘구원투수’로 나설 전망이다.
◇자세 바꾼 캠코=현장 실사 끝에 지난해 인수한 부실PF 자산 가치를 투자금의 3분의 1로 평가했던(1월 7일자 14면 참조) 캠코가 자세를 바꿔 부실PF 정상화에 나선다. 캠코 고위 관계자는 16일 전화통화에서 “지난달 실사 결과는 사업 청산을 목적으로 현재 가치만을 평가했던 것”이라며 “PF사업자 정상화 추진단을 구성해 PF사업장 386개에 대한 전수조사를 다시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재실사를 통해 계속 사업 가치가 청산 가치보다 높은 곳은 사업을 완성한 뒤 매각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사업 가치가 큰 PF의 경우 담보권자인 캠코가 나서 기존 저축은행의 투자를 확대하거나 민간투자자 모집 등을 거쳐 건설사업을 완성한 뒤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의미다.
이 경우 해당 저축은행은 부실 위험을 탈피할 가능성이 높다. 부동산 경기 악화와 PF과열 경쟁으로 인한 투자 거품이 끼인 상황에서 캠코가 이를 즉시 처분하려 할 경우 헐값에 넘길 수밖에 없지만 정상화 후 매각할 경우 시간은 더 걸려도 투자금에 근접한 가격에 매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즉시 처분쪽으로 방향을 잡았던 캠코는 최근 장영철 사장이 부임한 이후 이를 상당수 정상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3트랙 정상화전략 통할까=금융당국은 대형 금융지주사 인수, 캠코를 통한 자산 정상화라는 ‘당근’과 예보를 통한 구조조정이라는 ‘채찍’ 등 세 가지 방안을 앞세워 저축은행에 강력한 개혁 드라이브를 걸 방침이다.
1차 대상은 BIS비율이 5% 미만이어서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저축은행들이다. 적기시정조치를 받거나 이를 위한 실사가 진행 중인 곳은 현재 5∼6곳에 이른다. 이 중 지난 14일 6개월 영업정지 조치를 받은 삼화저축은행은 ‘채찍’을 받았다. 금융당국은 나머지 4∼5곳 중 일부는 금융지주사가 인수토록 하되 경영 실적이 악화된 곳은 직접 구조조정에 나설 방침이다.
그러나 막상 구조조정이 본격화됐음에도 금융지주사들은 구체적인 인수의사를 밝히지 않고 눈치만 보고 있다. 규정상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저축은행을 인수하면 영업구역 외에도 지점을 낼 수 있는 인센티브를 받지만, 대신 직접 경영 정상화에 나서야 하는 만큼 많은 돈과 시간이 들기 때문이다.
업계에선 금융지주사들이 예보가 구조조정을 끝낸 예한울·예쓰·예나래 저축은행을 인수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경영정상화가 끝난 이들을 인수할 경우 규정상 인센티브가 없지만 금융위가 별도로 인정할 경우에는 인센티브를 줄 수 있어 지주사들이 ‘알짜’ 저축은행을 먹기 위해 눈치만 보고 있다는 것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