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말리아 해적 소탕 위해 국제사회 결단을
입력 2011-01-16 18:00
소말리아 해적들을 소탕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 강화가 절실하다. 소말리아 해적은 15일 아라비아해에서 한국인 8명을 포함해 21명이 승선한 삼호해운 소속 화학물질 운반선 삼호주얼리호를 납치했다. 삼호드림호와 선원들이 석방된 지 2개월여 만에 또 피랍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지난해 10월 납치된 금미305호는 아직 억류된 상태다.
미화 950만 달러(약 105억원)를 주고 피랍 217일 만에 해결된 삼호드림호 억류 사태는 선박 피랍 사상 최고 석방금액과 최장 억류기간을 기록했다. 이를 계기로 전 세계 해운업계는 석방금액 급등과 석방협상 장기화를 우려해 왔다.
해적들이 납치한 선박과 선원들을 풀어주면서 받는 몸값은 연간 수억 달러(수천억원)에 육박한다. 국제해사기구(IMO)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발생한 39건의 선박 피랍 사건 가운데 89.7%를 소말리아 해적이 저질렀다. 전 세계 선박을 대상으로 자행되는 해적질을 막기 위해서는 국제사회가 나서 해상안전 대책을 조율할 필요가 있다.
해적들을 수수방관하는 소말리아에 강한 정부가 들어서도록 국제사회가 정치력, 외교력을 발휘하는 것이 시급하다. ‘국민기업’ 행세를 하는 해적들에게 돈을 대고 배당금을 받는 소말리아 주민들이 해적들과 손 잡지 않도록 인도적 지원 등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소말리아 해적 척결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아프리카연합, 나토 등이 나서야 한다”는 미트로포울로스 IMO 사무총장의 주장은 전방위 공조가 요구된다는 의미다.
소말리아 해적 퇴치 연락그룹(CGPCS)이 지난해 11월 합의한 대로 해적들에 대한 재판권 행사를 인접 국가로 하는 방안도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그동안 소말리아 해적들은 케냐 등 인접 국가에서 재판을 받아도 “관할권이 아니다”는 이유로 석방되곤 했다. 소말리아 인근 해역에서 활동하는 군함 50여척을 적정 수준까지 늘리고, 각국 간 연합훈련을 강화해야 한다. 일본처럼 무장한 보안요원들을 선박에 태우는 것도 방법이다. 우리 정부는 삼호주얼리호와 금미305호의 조속한 석방을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고, 우리 선박 보호활동에도 만전을 기울여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