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육의 미래 위해 전교조가 해야 할 일
입력 2011-01-14 17:23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장석웅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위원장이 어제 첫 회동을 가졌다. 양측 수장이 만난 건 현 정부 들어 처음이다. 전교조 교사 대량 징계 등으로 전면전을 벌여온 양측이 자리를 같이 한 것은 관계 개선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다. 앞으로도 각종 교육 현안을 놓고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누길 기대한다.
이 같은 새로운 변화는 지난 1일 온건파인 장 위원장 취임을 계기로 전교조가 노선 전환에 시동을 걸면서 비롯됐다. 장 위원장은 투쟁 중심 노선에서 탈피해 교육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조직으로 탈바꿈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바람직한 방향 설정이다. 정부와의 조건 없는 대화 의지도 밝혔다. 그 일환으로 전교조 홈페이지에 게재됐던 교육 장관 퇴진운동 서명란을 삭제한 건 일단 평가할 만하다.
대화는 재개됐지만 숱한 난관이 도사리고 있다. 첨예하게 대립해왔던 교원평가, 학업성취도평가, 시국선언 교사 해직, 민주노동당 가입 교사 처벌 문제 등은 이견을 해소하기 쉽지 않다. 강경 노선을 고수하는 내부의 입김으로 전교조가 대화를 포기하고 이념·정치투쟁 일변도로 돌아갈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소모적 갈등이 재현돼 학교 현장의 혼란만 거듭될 뿐이다. 장 위원장이 국민 눈높이에 맞추겠다고 했으니 국민 뜻에 따르는 게 순리다. 우선 기득권에 안주하기 위해 교원평가를 거부해온 입장을 접는 등 말만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
현재 전교조는 기로에 서 있다. 1989년 참교육 실천을 표방하며 출범한 전교조는 교육민주화에 힘써온 초창기와 달리 2000년대 들어 과도한 투쟁에 매달리면서 국민의 비판을 받는 처지가 됐다.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장 위원장의 각오가 남다른 만큼 국민과 함께하는 전교조로 환골탈태하기를 주문한다. 이를 위해 정부나 교육감의 불합리한 정책에 대한 건설적 비판과 함께 공교육의 질을 높이고 사교육을 억제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을 내놓는 데 초점을 맞추길 바란다. 교과부도 대국적 견지에서 대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 그래야 우리 교육에 희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