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신제강공장 건축 재개위해 포항공항 활주로 ‘늘리고 높이기’ 추진

입력 2011-01-13 21:50


국무총리실 행정협의조정위원회가 군사시설제한구역의 고도제한을 초과해 2009년 8월 공사가 중단된 경북 포항시 동촌동 포스코 신제강공장 건축을 재개하기 위해 인근 포항공항 활주로를 연장하고, 활주로 표면을 높이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13일 확인됐다.



총리실은 18일 행정협의조정위 본회의를 열어 건축 허가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그러나 민간 기업을 위해 군사공항 활주로를 늘리고 높이까지 조정한 전례가 없어 논란이 예상된다.

총리실과 국방부가 국회 국방위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군은 신제강공장 건축 허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지난달 10일 열린 행정협의조정위 실무위원회 회의에서 “활주로 길이를 연장하는 방안 외에 추가로 활주로 표면을 높이는 방안에 상호 합의하면 그대로 추진하겠다”고 포항시와 포스코 측에 밝혔다.

앞서 지난해 9월 행정협의조정위가 한국항공운항학회에 ‘비행안전 영향평가 및 대안검토’ 연구 용역을 발주한 결과 포항공항의 활주로를 신제강공장 반대방향으로 378m 확장하는 안이 제시됐다. 이 경우 고도제한 기준(66.4m)이 완화돼 기준을 초과하는 높이가 19.4m에서 14.9m로 낮아진다. 하지만 신제강공장의 상단(1.9m)을 철거하더라도 여전히 13m 정도 고도제한을 초과하게 된다. 이 때문에 활주로 표면을 5∼7m 높여 위법성을 해소하겠다는 게 군의 입장이다. 활주로 공사에는 1000억∼1500억원이 소요되며, 공사비는 포스코가 부담할 전망이다.

현재 군은 확장된 활주로의 끝부분 높이만 올려 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지역은 실제 비행기 이착륙과는 별 상관없는 곳이다. 따라서 활주로 일부만 조절함으로써 활주로 표면고도 가운데 가장 높은 곳을 기준으로 삼는 고도제한법상 규정을 충족시키겠다는 얘기다.

하지만 평평해야 할 활주로에 경사가 생기면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비행안전 평가를 다시 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포스코측과 정부 관계자는 “활주로에 약간 경사가 생겨도 비행 안전성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다”면서 “활주로 양끝을 잇는 경사도인 종단경사가 0.4∼0.6%로 군항 기준 1%나 민항 기준 0.8%를 모두 충족한다”고 해명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